APCCMI 2023 신종감염병 심포지엄…유전자 감시 체계 중요
"변종바이러스 양상 등 공유해 근거 중심 방역 정책 수립해야"

ⓒ청년의사
ⓒ청년의사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났지만 "언젠가 '바이러스 X'가 불러올 새로운 팬데믹" 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따라 미지의 신종 바이러스를 조기에 감지해 확산 전 개입하는 '글로벌 감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신종·재유행 감염병'을 주제로 질병관리청이 주관한 아시아·태평양임상미생물감염학회(APCCMI 2023) 심포지엄에서 감염병진단분석국 김은진 신종병원체분석과장은 감염병 국가 표준실험실(National Reference Laboratory)로써 질병청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전 세계적인 유전자 감시(genomic surveillance) 체계 구축과 국제 공조를 강조했다.

한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국내 유입 이전부터 '바이러스 X' 존재를 주목하고 유전자 감시 체계를 가동해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개별 국가를 넘어 전 세계 공조가 중요해졌다는 게 김은진 과장의 설명이다.

김 과장은 "코로나19 초기를 거치면서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유전자 감시시스템이 강화됐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물론 유럽까지 전 세계가 변종 바이러스 출현에 대비해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를 공유했다"고 했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는 국가 방역 대책을 수립하는 밑거름이 됐다. 김 과장은 질병청이 바이러스 종류와 발현 양상, 면역 회피 능력까지 방대한 정보를 수집했고 이는 '근거 중심 정책 수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김은진 과장은 "앞으로 새로운 '바이러스 X'가 불러올 새로운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려면 이처럼 '바이러스 X'를 조기에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과장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다음 팬데믹 사이(inter-pandemic period)가 중요하다"며 "전 세계적인 정보 공유 체계를 마련하고 각국의 감염병 대비 유전자 감시 시스템을 한층 더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대응 현장에서는 국가 기관은 물론 민간 분야 역량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 심포지엄 참가자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과정에 민간 기관의 역할도 상당했다. 대부분 국가적 위기 상황에 손해를 감수하고 참여했다"며 "공공은 물론 민간 분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세운 구체적인 계획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은진 과장은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중 임상은 물론 유전자 감시 분야에서 민간의 역할이 대단히 컸다. 전체적인 유전자 감시 역량을 신장하려면 공공은 물론 민간 부분 성장도 필수적"이라며 "향후 신종 감염병에 대비해 공공과 민간이 함께 하는 협의체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 기술적인 부분은 물론 정책과 제도적인 부분까지 아울러 다루겠다"고 말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