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명당 1명 유병률 ASD…김희연 교수팀, 수면과 증상 및 행동 연구
입면 지연, 관심사 몰두·반복…밤에 자주 깸, 공격적 행동 연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의사소통 결함과 제한된 관심사, 반복적 행동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발달 장애다. 2022년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통계에 따르면, ASD 유병률은 36명당 1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국내 유병률도 약 2% 내외다.

ASD 환자의 40~80%는 수면 문제를 겪는다. 이러한 수면 문제는 수면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폐증상과 문제 행동들과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김희연(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신재일(소아청소년과)천근아(소아정신과) 교수 연구팀은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수면 문제가 자폐 핵심 증상과 행동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김희연(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재일(소아청소년과)‧천근아(소아정신과)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김희연(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재일(소아청소년과)‧천근아(소아정신과) 교수

연구팀은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ASD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액티그래피 등 수면 검사와 수면에 대한 설문을 통해 수면 문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를 했다. 또 다른 연구에서 밝혀진 특정 수면 문제들이 자폐 증상, 행동 문제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메타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ASD 소아청소년은 정상 발달 중인 또래와 비교해 입면이 지연되고 수면 효율이 떨어졌다. 전체 수면 시간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렘(REM) 수면이 적고, 주간 졸음을 더 많이 호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수면 문제들이 자폐 핵심 증상행동 문제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수면 관련 불안과 입면 지연은 자폐 핵심 증상 중 하나인 제한된 관심사에 대한 몰두반복 행동과 연관이 있었다.

밤에 자주 깨는 문제는 공격적 행동과 기분불안주의력 문제 등 다양한 문제 행동과 연관이 있었다. 또 주간 졸음을 많이 경험한 아동은 더 높은 비율로 기분불안 문제를 동반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희연 교수는 두 건의 연구를 통해 ASD 소아청소년들이 다양한 수면 문제를 겪고 있고, 수면 문제가 잠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자폐 증상과 행동 문제와도 긴밀히 연관돼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D 소아청소년의 수면 문제에 개입해 자폐 증상을 호전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최신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