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과 함께 만성콩팥병 관찰 필요하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칼슘이 침착되면서 혈관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석회화가 심할수록 만성콩팥병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가 발표됐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진행되면서 혈관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관상동맥 석회화'는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관상동맥 석회화가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만이 아니라 만성콩팥병의 위험까지 높인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의 유병률 증가와 동반되는 만성 콩팥병의 위험 요인을 밝힌 연구로 관심이 주목된다. 

강북삼성병원은 서울건진센터 강정규 교수,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연구팀이 2010년~2018년 사이에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11만여명을 4.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에서 관상동맥 석회화가 만성콩팥병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에 따라 대상자를 ▲0점 ▲1-100점 ▲101-300점 ▲300점 초과로 나누고 만성콩팥병 발병 위험을 살폈다. 그 결과,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가 0점인 그룹에 비해 만성콩팥병의 발생 위험도가 ▲1-100점 그룹은 15% ▲101-300점 그룹은 37% ▲300점 초과 그룹은 71% 증가해, 석회화 점수가 높을수록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진행되면서 혈관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관상동맥 석회화'가 심할수록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도가 증가했다. 그래픽 제공=강북삼성병원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진행되면서 혈관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관상동맥 석회화'가 심할수록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도가 증가했다. 그래픽 제공=강북삼성병원

또한 만성콩팥병을 정의하는 두 가지 기준인 사구체 여과율 감소와 단백뇨 발생으로 각각 나눠서 분석했을 때도 석회화에 따라 만성 콩팥병 발생 위험도가 증가했다.

강정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관상동맥석회화가 있을 때 흔히 동반되는 전신 혈관의 탄성도 감소, 맥압 증가 등이 콩팥 혈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며 “콩팥질환이 심혈관 질환과 여러 위험인자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상동맥 석회화가 보이는 경우 우선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조절해야 하며, 만성 콩팥질환으로 진행되지는 않는지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