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부천병원 이종대·이익성 교수 연구팀, 연구 결과 발표
외부 자극 중 중요 자극 감지 부위 ‘뇌신경망 연결성' 손상 심해
치매 예방 방안으로 '청각재활' 중요성 부각…난청, 적극 대처를
난청이 있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난청이 없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보다 외부 자극 중 중요한 자극을 감지하는 부위의 뇌신경망(Brain Netwrok) 연결성이 더 손상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순천향대부천병원은 이 병원 이비인후과 이종대‧신경과 이익성 교수 연구팀(신경과 이태경 교수, 이비인후과 이세아 교수, 핵의학과 박정미‧최준호 교수)이 난청이 있는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외부 자극 중 중요한 자극을 감지하는 ‘현저성 네트워크(Salience Network)’의 기능적‧해부학적 연결성이 낮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9일 발표했다.
현저성 네트워크는 감각, 감정 등 중요한 자극을 감지해 의사소통과 사회적 행동, 자기 인식 등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우리 뇌 주요 네트워크 중 하나다.
연구팀은 2021년 4월부터 9월까지 순천향대부천병원 신경과에서 진료받은 경도인지장애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청력 측정 및 영상 검사를 시행하고 분석했다. 순음 평균과 단어 인식 점수(Word recognition score)를 사용해 청력을 측정하고,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와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s)을 해서 뇌의 기능적‧해부학적 연결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경도인지장애 환자 48명 중 30명은 난청이 있었고, 18명은 난청이 없었다. 난청을 동반한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대상 피질의 양측 뇌섬과 전방 분할 사이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양측 뇌궁, 뇌량 겸자 및 뇌량 체부를 통하는 섬유의 포자층, 왼쪽 해마측 대뇌피질, 왼쪽 상시상방사에서 뇌 백질의 손상이 나타났다. 좌우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뇌들보와 해마측 백질의 연결성은 난청의 중증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익성 교수는 “경도인지장애는 주관적으로 기억력 등의 인지기능 저하를 호소하고 신경심리검사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있지만 일상생활 장애는 없는 상태다. 향후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치매의 전구기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번 연구로 난청이 치매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에 기여하는 기전을 규명하고, 치매 예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인 청각 재활 역할의 중요성을 한 번 더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종대 교수는 “난청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첫 연구다. 본인이나 가족 중 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난청이 있다면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방치하지 말고 반드시 의학적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아토피로 흔히 오진되는 '피부림프종'…서울아산병원, 접근법 바꿨다
- 정력 위해 섣부른 '남성호르몬요법'은 금물…'잠재성 전립선암' 자극한다
- 감기 후 반복되는 아이의 콜라색 소변…'희귀유전질환' 징후였다
- 결혼 만족도 낮은 노인 치매 위험 높다
- 언제 터질지 모른다는 뇌속 시한폭탄 ‘뇌동맥류’…다 터지지 않는다?
- 암 환자, 붉은 고기 먹으면 안 된다?…암과 붉은 고기 섭취의 진실
- 자폐 소아청소년, 잠 잘 못 자면 자폐 증상과 행동 악화된다
- 서울대병원 의료진, 여성암 발생 1위 '유방암' 간 전이 새 메커니즘 규명
- 심혈관 사망 요인 '관상동맥 석회화', 만성콩팥병 위험 높여
- 밤마다 벌떡벌떡 잠 깨우는 '야간뇨' 일상대처법 대해부
- 이명과 함께 찾아온 돌발성 난청, '뇌종양' 신호일수도
- 국산 뇌전증치료제 ‘세노바메이트’, 미국서 폭풍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