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관리-골다공증 예방-근육량 유지 중요"

골다공증, 근감소증, 비만이 합쳐진 '골다공증-근감소성 비만'이 폐쇄성 폐 기능 이상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된다. 고령인구에서 나타나는 노화는 골량과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량이 증가하는 유해한 체성분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러한 골감소증, 근감소증, 비만의 복합적인 형태는 최근 골다공증-근감소성 비만(osteosarcopenic obesity, OSO)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은 이 병원 재활의학과 박철현 교수 연구팀이 2012년에서 2018년 사이에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50세 이상 성인 2만8,623명의 체성분 변화에 따라 ▲정상적인 신체(골감소증, 근감소증, 비만 없음) ▲1가지 유해 조건 보유 ▲2가지 유해 조건 보유 ▲3가지 유해 조건 보유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같은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

연구 결과, 정상적인 신체 그룹에 비해 ▲1가지 유해 조건을 보유한 그룹에서 폐쇄성 폐 기능 이상 위험도가 36% ▲2가지 유해 조건을 보유한 그룹에서는 47% ▲3가지 유해 조건을 보유한 그룹에서는 64% 증가했다. 특히 더 많은 유해한 체성분 요소들을 가지고 있을수록 노력성 폐활량 (FVC) 및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이 감소하고 폐쇄성 폐 기능 이상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사진 제공=강북삼성병원

박철현 교수는 “고령인구에서 체중 관리, 골다공증 예방 및 근육량 유지를 통해 폐 기능 악화, 특히 폐쇄성 폐 기능 이상의 발생위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팀 소속의 강북삼성병원 재활의학과 임한솔 전공의는 “식품이나 영양보충제 섭취를 통한 에너지와 단백질 공급 및 근육량, 근력, 신체 능력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