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젠바이오, 국산 폐암 정밀진단 기술 선보인다
혈액으로 폐암 재발·예후 예측이 가능한 '국산 액체생검 진단플랫폼'이 세계폐암학회에서 기술력을 검증받는다.
엔젠바이오는 이달 9일부터 12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폐암학회에 참가해 ‘액체생검(Liquid Biopsy)’ 기술을 활용해 혈액 내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순환종양핵산(circulating tumor DNA, ctDNA) 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분석하는 폐암 정밀진단 기술인 ‘ctDNAaccuPanel Lung’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세계폐암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IASLC)는 폐암 및 흉부 악성 종양에 특화된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로 전 세계 100여개국, 약 8,000명의 전문가들이 참가한다.
액체생검 기술은 최근 유전체 분석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암 치료 후에도 암 재발의 주요 원인인 미세 잔존질환을 검사할 수 있어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조직을 직접 떼어내는 조직생검과 다르게 검사 편의성이 높고 반복 검사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 암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거나 항암제 내성 변이를 조기 진단할 수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폐암이 전체 암 발생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폐암 관련된 표적치료제가 가장 많이 상용화되는 이유다. 엔젠바이오가 선보인 기술은 폐암 관련 표적치료제 처방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 변이를 높은 정밀도로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 효과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번 글로벌 학회에서 엔젠바이오는 지난 8월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은 MGI사와 중동 및 아시아에서의 마케팅 전략을 논의한다. 특히, MGI사의 주요 타깃 고객인 아시아 대형병원 영업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엔젠바이오의 최대출 대표이사는 “ctDNAaccuPanel Lung은 암세포가 사멸해 혈류 속으로 방출한 극 미량의 DNA(ctDNA)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초정밀-고감도 기술”이라며 “실험법의 표준화와 유전체 빅데이터 기술이 적용된 전용 분석 SW를 제공하여 국내외 병원 또는 수탁검사기관들이 직접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향후 매출 성장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기업 글로벌인더스트리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액체생검 시장은 2020년 11억 달러(약 1조5,000억원)에서 2027년 38억 달러(약 5조1,000억원)로 연평균 20.2%의 고속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리서치 기업 ‘리넙 리서치(Renub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폐암 진단 시장 규모는 2021년 23억 달러(약 3조1,000억원)에서 2027년 36억 달러(4조8,000억원)로 연평균 7.75%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 "이런 검진 하지마”…무분별한 ‘건강검진’ 꼬집은 의학한림원
- '코셀루고'·'럭스터나', 급여 8부 능선 넘어…'타그리소'도 약평위 통과
- [박민선의 Cancer Genetic Counesling] “제일 큰 검사로 해주세요!”
- 복강내 온열항암화학요법 ‘하이펙’, 3~4기 난소암 치료에 효과적
- 농포성 건선의 짙은 그림자…희귀질환 맞는데 희귀질환 인정조차 안돼
- 대장암 10명 중 1명은 20~40대…한국, ‘젊은 대장암’ 발병률 세계 1위
- [송교영의 위암 올댓가이드] 위암수술 후 적극적 통증 조절 필요한 이유
- 메타버스로 자폐스펙트럼 아동 사회성 향상…훈련 프로그램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