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병생존율과 전체 생존율, 타목시펜 단독치료 보다 높게 나타나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진단을 받은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환자의 경우 타목시펜 단독치료 보다 타목시펜과 난소 억제주사 병행치료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유방외과 백수연 교수팀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진단을 받은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타목시펜과 난소 억제제 병행치료에 대한 장기간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폐경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경우 유방에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것이 표준치료다. 다만, 고위험군의 경우 난소 억제주사를 선택적으로 병행 투여해 왔으며, 이에 대한 임상 연구결과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연구팀은 유방암 중 가장 흔한 아형인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진단을 받은 45세 이하 환자 1,282명을 대상으로 타목시펜 단독 투여군(647명)과 타목시펜과 난소 억제주사 2년 병행군(635명) 2개 그룹으로 나눠 약 8년(106.4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대상자는 항암치료 후에도 난소 기능이 유지 혹은 회복된 환자였고, 난소 기능은 항암치료 후 2년 동안 6개월 간격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치와 월경 여부를 통해 확인했다. 기존 연구와 달리 이번 연구는 항암치료 이후 추적관찰을 통해 난소 억제주사 투여 여부를 결정했다.
연구결과 타목시펜과 난소 억제주사 병행군이 무병생존율과 전체 생존율 모두 더 높게 나타났다.
관찰기간 8년 동안 무병생존율(암세포 재발 없이 생존한 비율)의 경우 병행군이 85.4%, 타목시펜 단독 투여군이 8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 전체 생존율은 병용군 96.5%, 타목시펜 단독 투여군 95.3%로 병용군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외에 무재발 생존기간, 원격 전이 없는 생존 기간 등에서 병용군이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치료 이후 난소 기능이 유지되거나 회복된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로, 실제 임상에서 환자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또한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에 비해 나중에 재발이 잘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백수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타목시펜에 2년간 난소 억제주사를 추가한 환자에서 약 5.2%의 의미있는 재발 감소를 확인했다”면서 “현재 가이드라인은 외국의 임상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5년간 난소 억제주사를 권장하고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두 환자군 모두 8년 동안 95% 이상의 높은 전체 생존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또 “이에 난소 억제주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선택된 환자에서 난소 억제주사의 2년 사용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이전에 단독·병행 치료군의 5년 생존 결과를 비교했던 ASTRRA 임상시험의 후속 연구다.
지난 8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IF 45.3)에 ’Adding ovarian function suppression to tamoxifen in young women with hormone-sensitive breast cancer who remain premenopausal or resume menstruation after chemotherapy: 8-year follow-up of the randomized ASTRRA trial(호르몬 치료 반응성 유방암을 진단받은 폐경 이전의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치료 이후 난소기능이 보존, 회복된 환자의 타목시펜에 난소 억제주사제 추가 치료의 장기 효과 비교)'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 [유한욱의 희귀질환 톺아보기] 고셔병과 효소대치요법
- 직장에서의 보상 적절하지 않다?…우울증 없어도 '자살'로 이어질 수도
- “초임계 탈세포화 기술, 인체조직 이식재 시장 게임체인저 될 것”
- 4기 폐암 1차 치료 新선택지 '타그리소'…"국내 환자에겐 기회조차 없다"
- 소아 환자 의료공백 없앤다…지역별 공휴일 소아 진료 병원 지정 추진
- "희귀질환, 치료제 유무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특성 고려한 급여 필요"
- "모유수유 중인데…" 커피·소주 한 잔 간절할 때 방법 있다
- 잠복고환, 15~35세 호발 '고환암' 발생 확률 50배↑…영유아검진 중요
-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글로벌 TOP 5’ 진입
- 'DTC 유전자검사' 항목, 129개로 확대…유당불내증 등 28개 항목 추가
- "경제적 파탄 물론 생을 포기하기도" 피크레이 급여 촉구 유방암 환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