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약품 포함 약 공급 중단·부족 428건 중 54건 즉각 공개 안돼
보고 규정 위반에도 행정처분 0건…"약 수급불안정 부추기는 행정"
서영석 의원 “보고 즉각 공개 안 하는 것은 곧 조직 무능 은폐 시도”
필수의약품을 포함한 치료제 수급불안정 문제로 환자를 비롯해 의료진 등이 잦은 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약품 공급 이슈에 대해 대국민에게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 보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총 428건의 의약품 공급 중단·부족 보고(공급 중단 252건·공급 부족 176건)가 있었지만, 54건은 즉각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에서는 의약품의 제조판매·수입업자로 하여금 완제의약품의 생산·수입·공급을 중단하려는 경우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식약처장에게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식약처 고시인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보고 규정'은 원칙적으로 의약품 공급 중단 및 공급 부족 보고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재하도록 하고 있다.
서영석 의원은 "최근 요양기관들이 치료에 필수적인 의약품의 공급이 중단되었음에도 이를 알지 못해 상당한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비공개 조치는 국민의 알 권리를 저해하는 것으로서, 대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은폐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정보공개를 원칙으로 하는 제도의 취지를 왜곡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또한, 의약품의 제조판매·수입업자가 보고한 날로부터 식약처의 홈페이지 공고까지 대부분이 60일 이상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보고일로부터의 홈페이지 공개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28일이었다.
규정에 따라 의약품 공급을 중단하려면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식약처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위반 시 행정처분도 규정하고 있는데, 60일 전 보고 규정을 위반한 건은 2022년 24건, 2023년은 16건이었다. 공급부족 보고는 행정처분 조건은 없으나 공급부족 보고의 90% 이상이 60일 이내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서영석 의원은 “정부가 공급 중단·부족 보고를 받았음에도 이 사실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저해하고 정보공개 제도의 취지를 왜곡하는 것”이라며 “그 속내는 대책을 찾지 못하고 무능하다는 사실을 은폐하려는 시도로밖에 볼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서 의원은 “의약품 수급불안정으로 약국과 병원이 굉장히 혼란을 겪고 있고, 환자들은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사태 발생 1년이 넘은 이 시점에도 대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외상 뒤엔 젊은층에게도 유발…'퇴행성관절염' 조기 진단·치료 중요
- ‘비후성 심근증’ 알리기에 팔 걷어붙인 의사들
- 유한양행 '렉라자' 약평위 통과…폐암 1차 치료 급여에 성큼
- BRCA1과 BRCA2 보유자, '예방적 수술' 권고 시기 다르다
- 보조항암치료 받는 고령 위암 환자, 혈전색전증 유의해야
- 통통한 내 아이 '목덜미·겨드랑이' 거뭇거뭇하다?…'당뇨병 신호탄'
- 사랑니 뽑을 적기, 20대 초중반 사이?…사랑니 발치 올댓가이드
- 조인성·김하늘·고아라·김기방·고창석 씨, 소아희귀질환자 돕기 팔 걷어
- 충북대병원·충북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전문인력교육’ 실시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새 이사장에 권정택 중앙대병원장 선임
- 엉덩이‧다리에 통증 있거나 저리다면…‘척추협착증’ 의심
- 눈 뻑뻑하고 아픈 안구건조증 환자 268만명…‘인공눈물’ 오남용 말아야
- 희귀질환 신약 '빈다맥스' 급여…"제약사가 위험분담에 적극 나서야"
- "소아응급병동 운영, 환자 응급실 체류시간 줄여"
- 고관절 골절 수술 뒤 60% 이상 보행장애…적극적 재활치료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