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8일 건정심 열어 관련 방안 심의‧의결…내년 3월 시행
당뇨관리기기 지원 확대…본인부담률 30%→10%로 완화

내년 3월부터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들의 정밀 인슐린자동주입기(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리기기 구입부담이 1/10로 줄어든다. 

보건복지부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의료비 부담이 커 구입이 어려웠던 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리기기의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국내 등록된 제1형 당뇨환자는 3만378명이다. 이 중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는 10%에 해당하는 3,013명이다.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는 매일 인슐린 사용이 필요하나 스스로 혈당 관리가 어려워 저혈당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정밀 인슐린펌프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에 이날 건정심에서는 당뇨관리기기를 기능별로 세분화하고 급여 기준액을 신설했다. 정밀 인슐린펌프의 구성품인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를 각각 기능별 세분화하고, 해당 구성품의 급여 기준액을 신설·증액했다.

구성품 중 인슐린펌프와 전극은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본인부담률을 기존 30%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본인부담률이 10%로 낮아지면 기존 380만원이 넘게 들던 경제적 부담이 45만원 수준으로 낮아지게 된다. 

복지부는 "정밀 당뇨관리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간 인슐린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1형 당뇨환자 특성상 저혈당 위험으로 불안했던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보호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앞으로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같은 소식에 사단법인 대한당뇨병연합은 즉각 환영의 뜻을 표했다. 

당뇨병연합은 "복지부의 대책은 연합이 제안하고 이명수 국회의원이 대표발의한 '소아·청소년·청년 당뇨병 환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해당 부처의 응답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이번 정책적 성과가 있기까지 함께 해 준 많은 분께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