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석승혁 교수 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면역항암치료의 효과를 높일 항암 치료 타깃을 발굴해 관심이 모아진다. 

서울의대는 미생물학교실 석승혁 교수와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최홍윤 교수 공동 연구팀이 초기 종양 성장단계에서 관여하는 마크로파지 매개 미세환경을 다각도로 규명했고 이를 통해 면역억제 환경 조성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를 발굴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마크로파지는 미세환경 내 상당수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세포로 혈관 신생 작용, 면역억제, 혈관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조절 등을 통해 암세포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마크로파지 관련 치료 전략은 주로 종양 미세환경 내 마크로파지를 제거하는 방식인데, 종양 미세환경에는 암세포를 제거하고 T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염증성 마크로파지도 함께 존재해 마크로파지 제거 전략을 사용하면 '적군'인 면역억제성 마크로파지와 '아군'인 염증성 마크로파지가 함께 제거된다. 이런 탓에 전신 부작용 뿐만 아니라 T세포 활성화, 항암 효능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종양 미세환경 내 마크로파지에 의해 가장 결정적으로 조절받게 되는 핵심 세포와 타깃을 발굴하기 위해 유방암 동물모델에서 마크로파지 선택적 제거 약물 클로드로네이트를 주입한 뒤, 마크로파지 유무에 따른 종양 미세환경 내 암세포와 면역세포에 단일세포 전사체 기반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종양 내 마크로파지를 제거했을 때 암세포와 T세포에서 가장 큰 변화가 관찰됐는데, 암세포는 전이 능력을 의미하는 EMT(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가 감소했으며 암세포를 공격하는 CD8 T세포의 수가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마크로파지가 암 전이와 면역억제 환경 조성에 주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마크로파지 의존적 조절 인자로 galectin-1이 관여하는 것을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검증했다.

연구팀은 "마크로파지 전체를 제거하는 전략 대신 마크로파지가 면역억제성 미세환경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가장 결정적 핵심 인자 galectin-1을 신규 타깃으로 조절한다면 현 마크로파지 타겟팅 치료전략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종양 감소 및 기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