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심장질환 무서운 줄 알지만, 천식은 몰라…조기 진단 중요

겨울철에는 춥고 건조한 대기질 영향으로 천식같은 호흡기 질환이 유행한다. 여기에 겨울에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표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천식 유발 위험성은 더 커진다.

천식은 기침가래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이때 단순 감기로 오해하고 감기약을 복용하기도 한다. 감기약은 일시적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지만 오히려 천식 진단치료를 늦출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심각한 문제는 더 있다. 일상생활을 하다가 여러 원인으로 호흡곤란 등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천식발작이 발생해 의사소통이 어려워지고,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평소 기침이 잦고 호흡곤란 증세가 있거나, 감기가 2주 이상 낫지 않으면 천식을 의심해보고 병원을 찾아 진단받는 것이 좋다.

'천식’, 주로 알레르기 항원 흡입으로 발생

우리나라 국민들은 대부분 사망률 상위권을 웃도는 암을 비롯해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대한 관심은 높다. 이에 비해 천식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편이다.

최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보면, OECD 국가 간 주요 질환별 표준화 사망률 비교에서 ‘한국의 천식 표준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명이었다. 이는 튀르키예와 아이슬란드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하며 평균 1.3명보다 현저히 높았다.

한편 그동안 천식은 소아 또는 60대 이상 고령층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알려졌다. 이에 비해 최근 국내 20대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으로 인해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와 폐가 부으면서 기침과 가슴 통증, 쌕쌕거림 등 호흡기 증상이 생기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특정 유발 원인 물질이 기관지를 공격해 호흡기 근육을 좁게 만들어 기침천명(숨 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과 가래 등 증상을 반복적으로 유발한다. 증세가 반복되면 섬유화와 기도개형이 일어나면서 영구적인 폐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천식은 유발 원인으로 유전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한다. 대부분 외부 알레르기 항원 흡입으로 생긴다.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집먼지진드기와 애완동물, 바퀴벌레, 곰팡이 등 알레르기 항원과 감염, 직업적 감작물질(작업환경에 노출됐을 때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 약제흡연, 실내 오염, 특정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등이 있다.

채혈 한 번으로 알레르기 유발 인자 108종 확인 가능

천식은 감기와 비슷한 증세를 보인다. 증상만으로 천식을 판별하기 쉽지 않다. 증상이 있으면 전문의 상담을 통해 폐 기능 검사와 기관지 유발 시험, 흉부 방사선 촬영, 객담 검사로 천식을 진단한다.

다만, 알레르기 근원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정확한 진단으로 조기 예방이 중요한 만큼 종합적이고 세분화된 마스트 알레르기 검사’(MAST,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로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마스트 알레르기 검사는 알레르기 항원 108종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다중 알레르기 항원 동시검사법이다. 채혈 한 번으로 한국인에게 가장 많이 생기는 호흡기(34), 식품(41), 공통(33)으로 모두 108종의 항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알레르겐을 동시에 알 수 있어 원인을 추정하기 어려운 알레르기나 다수 요인에 노출된 경우,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알러지 등 약물을 복용하고 있고, 영유아 또는 피부질환자에게도 유용하다. 특히 피부 반응 검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쇼크 위험성이 없어 영유아와 광범위 피부질환 환자도 안전하게 검사받을 수 있다.

GC녹십자의료재단 이지원(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최근 천식은 20대 유병률까지 늘고 있어 관심을 가지고 주의해야 할 상황이라며 천식은 주로 알레르기 항원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평소 기침이 잦거나 가슴 답답함이 자주 느껴지고, 감기가 2주 이상 가면서 잘 낫지 않는다면 마스트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