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인공지능 모델 서비스 환경 구축

삼성서울병원의 맞춤형 AI 모델 서비스. 민감정보를 병원 내에서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최신 AI알고리즘을 적용해 병원 맞춤형 AI모델을 개발하는 과정. 그래픽 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의 맞춤형 AI 모델 서비스. 민감정보를 병원 내에서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최신 AI알고리즘을 적용해 병원 맞춤형 AI모델을 개발하는 과정. 그래픽 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에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이 도입되면서 환자가 체감할 수 있는 의료의 질이 더 크게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병원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아크(Azure Arc)를 이용해 맞춤형 인공지능(AI) 모델 서비스 환경을 구축했다며 30일 이같이 밝혔다.

애저 아크는 하이브리드 및 다중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으로 병원 내 민감 데이터의 이동 없이 자동화된 머신러닝(AutoML)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최대 걸림돌 중 하나였던 민감정보의 유출 우려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광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더 고도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서울병원은 병원 내 자체 구축 방식의 온프레미스(On-Premise) 컴퓨팅 파워를 활용해 다양한 AI 모델을 개발해 적용해왔으며 이번에 새로 도입한 시스템을 통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가 체감하는 편익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삼성서울병원은 AI 모델 기반 낙상 발생 예측, 응급실 처치 추천 등의 업무에서 AI 기반의 임상의사결정시스템(CDSS)을 운영하면서 낙상 발생율은 11% 감소했고, 낙상 위험 평가 시간도 3분에서 5초로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봤다. 또 응급실 환자의 입실 후 동맥관 삽입 시간도 21%, 호흡 보조 기관 삽관 시간도61% 단축시켰다.

삼성서울병원 데이터혁신실 차원철 센터장(응급의학과 교수)는 “최신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모델 품질을 유지하면서 확장성, 효율성, 생산성 높은 머신러닝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환자에게 보탬이 되는 성공 모델을 계속 만들어 병원의 디지털 혁신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