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인공지능 모델 서비스 환경 구축
삼성서울병원에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이 도입되면서 환자가 체감할 수 있는 의료의 질이 더 크게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병원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아크(Azure Arc)를 이용해 맞춤형 인공지능(AI) 모델 서비스 환경을 구축했다며 30일 이같이 밝혔다.
애저 아크는 하이브리드 및 다중 클라우드 관리 솔루션으로 병원 내 민감 데이터의 이동 없이 자동화된 머신러닝(AutoML)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삼성서울병원은 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최대 걸림돌 중 하나였던 민감정보의 유출 우려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광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더 고도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서울병원은 병원 내 자체 구축 방식의 온프레미스(On-Premise) 컴퓨팅 파워를 활용해 다양한 AI 모델을 개발해 적용해왔으며 이번에 새로 도입한 시스템을 통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가 체감하는 편익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삼성서울병원은 AI 모델 기반 낙상 발생 예측, 응급실 처치 추천 등의 업무에서 AI 기반의 임상의사결정시스템(CDSS)을 운영하면서 낙상 발생율은 11% 감소했고, 낙상 위험 평가 시간도 3분에서 5초로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봤다. 또 응급실 환자의 입실 후 동맥관 삽입 시간도 21%, 호흡 보조 기관 삽관 시간도61% 단축시켰다.
삼성서울병원 데이터혁신실 차원철 센터장(응급의학과 교수)는 “최신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모델 품질을 유지하면서 확장성, 효율성, 생산성 높은 머신러닝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환자에게 보탬이 되는 성공 모델을 계속 만들어 병원의 디지털 혁신을 새로운 영역으로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여성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지표가 '유방밀도'?…치밀도 높으면 위험도↓
- 유방암·위암 혁신신약 '엔허투'…의료진 극찬 쏟아진 '엔허투' 쓸 길 있다!
- 초기 증상 없어 발견하면 이미 말기인 ‘간암’…수술을 다 못받는 이유
- 엔허투 급여 촉구 나선 6451명 환자·보호자들…심평원에 서명서 전달
- '키 크는 주사' 5년간 처방 건수 3.5배 상승…이상사례 보고는 5배 증가
- 9세 여자아이에게도 어느날 나타날 수 있는 ‘난소기형종’
- 해외원정치료 유도하는 '국내 루타테라 치료 횟수 제한' 규제 철폐를
- [칼럼] 정기적 자궁경부암 검진이 중요한 이유
- 콧물이 자꾸 목으로 넘어간다면…감기‧비염 아닌 ‘비부비동염’ 의심
- 하이볼‧맥사‧치맥 즐기는 20~30대에 통풍(痛風) 환자 급증
- "질병예방으로 의료비 증가 멈춰야…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아"
- 과음 후 누웠는데 심하게 배가 아프다면…‘췌장염’ 의심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 성적 나쁘다?…1차 치료로 60% 완치
- 청력 앗아가는 유전성 뇌종양?…신경섬유종증 동반 뇌종양 '청신경초종'
- “몰랐다”…한국, OECD 국가 가운데 ‘천식’ 사망률 3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