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하지만 완치 없이 평생 관리해야
경제‧심리적 부담 커…1형 당뇨병에 사회적 관심‧지원 절실
‘2형 당뇨병’으로도 불리는 ‘성인 당뇨병’은 비만 또는 단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활 습관에 문제가 있어서 발병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비해 ‘'1형 당뇨병’은 유전‧면역‧환경적 요인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고 인슐린 분비가 안 되면서 발병한다.
우리 몸은 음식을 섭취해 혈당이 높아지면 췌장에서 적정량의 인슐린을 자동으로 분비하면서 혈당이 정상 범주보다 오르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몸 안의 혈당이 급하게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1형 당뇨병은 주로 5~7세 소아와 사춘기 연령에서 발병했다. 1형 당뇨병이 ‘소아 당뇨병’으로 불린 이유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만으로 인한 소아청소년 2형 당뇨병 환자도 늘고 있다. 때문에 1형 당뇨병에 대해 소아당뇨병이라는 말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1형 당뇨병은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해서 완치 없이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관리와 전문의 도움이 중요하다. 특히 소아청소년은 성장하는 시기인 만큼 음식을 강하게 제한할 수 없다. 어린 1형 당뇨병 환자일수록 혈당을 관리하면서 동시에 성장에 필요한 영양은 채울 수 있는 식단이 중요하다.
또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저혈당‧동맥경화 등 혈관질환, 감염 등 여러 합병증을 평생 조심해야 하는 만큼 경제‧심리적 부담도 많을 수밖에 없다. 최근 충남 태안에서 1형 당뇨병을 앓던 7살 딸과 부모가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일도 있었다.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내분비 전문의 김혜순 교수는 “1형 당뇨병 환자들이 몇 십년 간 지속하는 경제‧심리적 부담으로 고통받는 것을 보면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안타깝다”며 “적절한 치료와 의학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아 내분비 전문의를 찾아 잘 치료받고 관리받을 수 있길 바라고, 동시에 우리 사회가 1형 당뇨병 환아들을 위한 지원 체제를 잘 갖추어 그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뇌동맥류, 언제 터질지 모를 시한폭탄…중년 이후 뇌혈관 약해지면 발병
- 무너지는 필수의료…필수의료 분야 전공의 10년간 610명 줄어
- “몰랐다”…한국, OECD 국가 가운데 ‘천식’ 사망률 3위
- 노화 정복의 꿈 현실화되나…'노화역전’ 연구, 국가 R&D 과제 지정
- [송교영의 위암 올댓가이드] 위암수술 전후 병리 소견이 다르다?
- 뇌졸중·심근경색 환자 ‘뺑뺑이’ 막는다…경기권역 병원네트워크 출범
- "초고가 희귀질환치료제 도입, 건강보험제도 외 방안도 모색해야"
- "같은 1기 대장암인데"…내시경치료와 수술치료 가르는 기준 무엇일까?
- 건선 환자, 비만 관리 필요…비만 교정하면 약물치료 반응 UP
- 순천향대천안병원, 최신형 다빈치 로봇수술기 도입
- 난치성 림프종에 새 치료법 시도…국산 카티치료제 ‘안발셀’ 임상 승인
- 삼성서울병원 2024년도 보직인사 단행
- [BOOK소리] 없던 병도 만들어내는 '의사-환자-가족의 트라이앵글'
- "소아중증외상환자 사망률 개선 위해 소아외상센터 운영 必"
- 통풍약 ‘알로푸리놀’ 심각한 피부이상반응 사전식별키트 국산화 성공
- 최적의 항암제 추천하는 '국산 암유전체분석 솔루션' 글로벌 출시
- 희귀질환전문기관 '분당서울대병원', 45개 희귀난치질환클리닉 운영
- 바벤시오, 요로상피세포암 1차 유지요법 표준치료제 가치 우뚝
- 옆구리 통증과 혈뇨 보일 때는 이미 많이 진행했을 ‘신장암’
- 월경과다‧생리통‧골반통으로 30~4대 여성 괴롭히는 ‘자궁근종’
- 10년 지켜온 소아전문응급센터 떠나는 소청과 교수의 ‘일침’
- 암환자에겐 치료기회 '임상연구' 좋은 결과 내려면…"연구자임상 지원必"
- 첨단재생바이오법 개정안 국회 통과…"세포·유전자치료 받을 길 열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