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오미크론 변이주가 유행하면서 전체적으로 코로나19 중증도가 낮아졌지만, 장기이식 환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감염 뒤 중증 진행을 막는 데 여전히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주가 유행하면서 전체적으로 코로나19 중증도가 낮아졌지만, 장기이식 환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감염 뒤 중증 진행을 막는 데 여전히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주가 유행하면서 전체적으로 코로나19 중증도가 낮아졌지만, 장기이식 환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감염 뒤 중증 진행을 막는 데 여전히 효과적안 것을 확인됐다.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이 병원 감염내과 허경민 교수,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강지만 교수, 길병원 예방의학과 정재훈 교수 공동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질병관리청 코로나 확진자 예방접종자 자료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20년 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코로나로 확진된 6,783명의 장기이식 수혜자를 비슷한 특성을 가진 2만6,982명의 미이식인과 비교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13일 밝했다.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받으면 이식장기의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데, 이로 인해 여러 감염에 취약해진다. 코로나 유행 초기부터 장기이식을 받은 사람은 코로나 감염과 중증 진행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해 왔으나, 장기이식 수혜자들이 다른 만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흔해서 이식이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이 오미크론 변이주 유행 기간에 감염돼 미이식인 가운데 0.66%만이 중증으로 진행하였으나, 장기 이식을 받은 사람은 3.83%가 중증 코로나19로 진행했다.

특히 폐(13.16%)와 심장(6.30%) 이식 수혜자의 중증화율이 높았고, 여러 변수를 보정한 결과 이식 수혜자의 중증화 위험은 미이식인에 비해 3.22배에서 18.14배까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코로나 예방접종을 2회 이상 받은 사람의 중증화 위험은 미접종자에 비해 47%가량 낮았고, 3회 이상 접종 시 중증 예방효과는 64%로 나타났다. 예방접종의 효과는 40세 이상에서 고르게 나타났으며, 오미크론 변이주 유행시기에도 꾸준한 효과를 보였다.

허경민 교수는 “코로나 중증도가 낮아지면서 우리와 함께 하는 감염병이 되었지만, 장기이식을 받은 사람에게는 여전히 위험할 수 있는 병” 이라며 “장기이식을 받은 분들을 비롯해 면역저하자들은 권고에 따라 예방접종을 챙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