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배열에 문제…척추관협착증으로 악화
척추는 몸의 기둥이다. 정면에서 척추를 봤을 때는 직선 모양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직립보행을 위해 ‘S’자다. 더 자세히 보면 26개 척추뼈가 일정한 정렬로 뼈 위에 다른 뼈가 쌓여 있다.
이들 척추뼈가 여러 원인으로 아래 척추뼈에 비해 위쪽 척추뼈가 앞으로 튀어나와 정렬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노화로 척추 관절이 비대해지거나 간격이 좁아지는 등 퇴행성 변화인 경우, 복부 비만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선천적 구조 이상인 경우, 소아청소년기에 무리한 힘이 척추에 가해진 경우, 외상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 어디에도 생기고, 허리 아래쪽에 많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 걷거나 자세를 변화시킬 때 허리‧엉덩이에 통증이 생긴다.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기도 한다. 심하면 다리에 자주 쥐가 나고, 다리가 차다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어긋난 척추로 신경 압박을 받으면 걸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지고,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었다가 허리를 펴거나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악화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엑스레이 검사로 척추뼈 구조와 밀려난 정도를 확인해 진단한다. 신경 압박 상태나 척추관 협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T‧MRI 검사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척추전방전위증 초기는 통증 완화와 척추 안정을 위해 침상 안정과 약물‧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한다. 이때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생활 습관 교정과 과체중이라면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우면 수술을 고려한다.
척추전방전위증 예방과 척추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 쪼그려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허리를 숙여 올리는 등 허리에 부담을 주는 자세는 피해야 한다. 또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는 비만이나 흡연은 금하는 것이 좋다. 칼슘‧비타민D 등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챙겨 먹고, 근력 강화를 위해 주 3회 정도 본인에게 맞는 운동은 도움이 된다.
대동병원 척추센터 정동문(신경외과 전문의) 소장은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가 앞쪽(전방)으로 위치가 변형(전위)돼 아픈 질환이고, 다른 척추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나이가 들어 또는 무리해서 허리가 아프다고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며 “방치되면 후관절이 두꺼워져 척추관협착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증상이 있으면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산과 필수의료 위기'…분만수가 인상·분만실 유지 기본수가 신설 필요
- 혈액암 환자, 전문 완화의료 상담 뒤엔 생애말기 불필요 의료이용 감소
- 마라탕 먹고 후식 탕후루 즐기는 ‘마라탕후루’ 세대…‘젊은 당뇨’ 무방비
- 췌장암 치료성적 낮은 이유, 초기엔 무증상…치료 뒤 재발·전이 흔해
- 소아심장 전문의 전국 15명 남짓…“필수의료 서로 하려는 환경 必”
- 복지부 “‘의료개혁특별위’ 의료계 참여 계속 설득 중”
- “심평원 암질심, 늘어나는 혈액암 치료제 받아들일 준비해야”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급여 확대 결정, 사실상 '유보'
- 4월 17일 '세계 혈우인의 날' 맞아 혈우병 환자 지지 행사 이어져
- 병원 도산 등 연쇄 효과 우려…의협 "남은 시간 없다" 대통령 결단 촉구
- 다른 아이보다 빠른 우리 아이 발육 오히려 걱정…‘성조숙증’
- 동화책에 나오는 ‘꼬부랑 할머니’ 만드는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
- 혈우병 환자들이 서울대병원 앞에서 사고났어도 세브란스로 가는 이유
- 신경내분비종양 환우들 해외원정치료 등 떠미는 규제 변화에 청신호
- 뱀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4월…등산 중 독사에 물렸을 때 “어쩔”
- 두경부암, 발병 원인 '음주'‧'흡연'의 빈도‧양에 따라 위험도 달라져
- 신혼이 밤마다 ‘단꿈’이 아니라 악몽이 되는 순간…‘수면 이혼’
- 폐암 방사선 치료 후 생긴 ‘변형 섬유조직’과 ‘재발암’ 반드시 구분해야
- 편두통 예방약 애브비 '아큅타', 장기 안전성·유효성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