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전방전위증, 척추 배열에 문제…척추관협착증으로 악화

척추는 몸의 기둥이다. 정면에서 척추를 봤을 때는 직선 모양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직립보행을 위해 ‘S’자다. 더 자세히 보면 26개 척추뼈가 일정한 정렬로 뼈 위에 다른 뼈가 쌓여 있다.

이들 척추뼈가 여러 원인으로 아래 척추뼈에 비해 위쪽 척추뼈가 앞으로 튀어나와 정렬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노화로 척추 관절이 비대해지거나 간격이 좁아지는 등 퇴행성 변화인 경우, 복부 비만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선천적 구조 이상인 경우, 소아청소년기에 무리한 힘이 척추에 가해진 경우, 외상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사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사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 어디에도 생기고, 허리 아래쪽에 많이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 걷거나 자세를 변화시킬 때 허리‧엉덩이에 통증이 생긴다.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기도 한다. 심하면 다리에 자주 쥐가 나고, 다리가 차다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어긋난 척추로 신경 압박을 받으면 걸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지고,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었다가 허리를 펴거나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악화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엑스레이 검사로 척추뼈 구조와 밀려난 정도를 확인해 진단한다. 신경 압박 상태나 척추관 협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TMRI 검사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척추전방전위증 초기는 통증 완화와 척추 안정을 위해 침상 안정과 약물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한다. 이때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생활 습관 교정과 과체중이라면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우면 수술을 고려한다.

척추전방전위증 예방과 척추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 쪼그려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허리를 숙여 올리는 등 허리에 부담을 주는 자세는 피해야 한다. 또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는 비만이나 흡연은 금하는 것이 좋다. 칼슘비타민D 등 관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챙겨 먹고, 근력 강화를 위해 주 3회 정도 본인에게 맞는 운동은 도움이 된다.

대동병원 척추센터 정동문(신경외과 전문의) 소장은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가 앞쪽(전방)으로 위치가 변형(전위)돼 아픈 질환이고, 다른 척추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나이가 들어 또는 무리해서 허리가 아프다고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방치되면 후관절이 두꺼워져 척추관협착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증상이 있으면 신경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