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탈수‧전해질 이상으로 급성악화…과일‧채소‧음료도 주의
기상청은 올여름 열대야가 이어지는 날이 많고, 더위도 만만치 않겠다고 전망한다. 열대야는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 이상일 때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만성 콩팥병 유병률은 13% 정도로 알려져 있다. 고령화로 만성 콩팥병의 주요 원인인 당뇨‧고혈압 환자 수가 늘어나면서 만성 콩팥병 전체 환자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만성 콩팥병은 1~5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가 초기 단계고, 5단계를 말기신장병이라고 한다. 5단계가 되면 콩팥 기능을 회복하기 어려운 단계로 요독 증상이 악화하기 전 투석이나 이식을 준비해야 한다.
만성 콩팥병 환자들은 여름에 더 조심해야 한다. 여름철에 탈수나 전해질 이상으로 신장 기능이 급성으로 나빠지거나 전신 합병증이 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성 콩팥병 환자들은 치료를 잘 받는 것 외에 일상생활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참외‧토마토 등 칼륨 함량 많은 과일‧채소 주의해야
여름철은 참외‧수박‧토마토‧포도 등 여름 제철 과일과 가지‧당근 등 채소가 풍성할 때다. 여름은 시원하고 달콤한 과일과 채소로 여름 무더위를 식히기 좋을 제철이다.
만성콩팥병 환자들은 여름철 과일‧채소 가운데 칼륨 함량이 높은 것은 주의해야 한다. 콩팥 기능이 절반 이상 망가진 만성 콩팥병 3기 이상 환자들은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칼륨이 줄어들어 섭취한 칼륨이 혈액에 쌓여 치명적인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과일은 바나나와 참외‧토마토‧키위보다 포도‧사과를 선택하고, 채소는 시금치 등 초록색 채소보다 가지‧당근‧배추‧콩나물 등 색깔 채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채소는 씻을 때도 따뜻한 물에 2시간 정도 담가 놓았다가 물에 헹구거나 데쳐서 먹는 게 바람직하다.
덥다고 벌컥벌컥 곤란…물은 조금씩 나눠서 마셔야
고온다습한 여름에는 높은 기온으로 적은 활동에도 많은 땀을 흘려 수분 손실이 많아진다. 이로 인해 탈수 위험도 커진다. 만성 콩팥병 환자들은 수분이나 나트륨 등 전해질 조절 능력이 떨어져 있고, 이뇨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물을 갑자기 많이 마시면 저나트륨 혈증이 생길 수 있다.
탈수로 신장 기능이 급격하게 나빠지기도 한다. 갈증을 느끼면 수분을 보충하지만 한꺼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운동 전 미리 마셔두는 등 조금씩 나누어서 마시는 것이 좋다. 고령 노인들은 탈수를 느끼는 감각이 둔해져 있어 더 주의해야 한다.
땀을 많이 흘린 후에는 칼륨과 나트륨이 많은 이온 음료보다 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소변을 통한 수분 배설이 거의 없는 만큼 여름철 수분 섭취가 과도하면 체중증가와 심하면 폐부종까지 발생할 수 있다.
저염식이 필요하면 조리 방법과 섭취 방법 바꿔야
만성 콩팥병 환자는 부종이나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많아 저염 소금이나 저염 간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나트륨 대신 칼륨 함량이 높을 수 있어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부기를 빼겠다고 성분표가 없는 식품과 한약을 함부로 섭취하면 신장 기능이 급성으로 악화한다.
조리가 끝난 후 소금‧간장을 넣는 것이 나트륨 함량을 줄이는 방법이다. 식품 첨가물이 많은 가공식품보다 자연식품을 먹으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 소금‧간장보다 향신료나 천연염료를 사용하고, 절임‧조림보다 구이‧찜으로 조리하는 것이 좋다. 장아찌‧젓갈 등 짠 음식은 적게 먹고, 국을 먹을 때는 건더기만 먹고 국물은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울시 서남병원 신장내과 손민정 과장은 “만성 콩팥병은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잘 다스리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자신의 신장 기능에 따라 섭취 가능한 건강식품 종류가 다를 수 있는 만큼 신장내과 전문의와 상의하고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