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은 치명적 빨리 병원 이송해야…감기 증상과 비슷한 냉방병

장마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비 그치고 여름 동안 더울 일만 남았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도 지난 주말 올여름 폭염경보가 내려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낮 최고기온이 30이상 오르면서 체감온도는 35에 육박하고, 밤에는 열대야로 이어질 전망이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 비교적 쉽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무더위로 인해 발생하는 온열질환이다. 또 과도한 냉방에 따른 실내외 큰 온도 차로 몸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생기는 냉방병도 주의해야 한다.

열사병이 더 위험, 사망 이르기도

폭염에 장시간 노출되면 불쾌감이나 권태감, 집중력 저하 등의 가벼운 증상을 누구나 겪는다. 폭염 같은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몸은 피부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땀을 흘리는 등 생리적 반응으로 열을 발산시켜 체온을 조절한다.

고온 환경에 계속 노출되면 체온조절기능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온열질환이 열사병이다. 이 가운데 일사병’(열탈진)은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해 생기는 질환이다. 더운 곳에서 운동 등 신체적 활동을 열심히 했거나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면 심박수가 빨라지고 구역구토어지러움두통실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일사병보다 더 위험한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가 외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기능을 상실한 상태다. 지나치게 더운 장소에 오래 있으면 발생한다. 열사병의 주요 증상은 40℃ 이상 체온과 뜨겁고 건조한 피부, 의식 저하, 섬망‧혼수‧발작 등 중추신경계 이상이 나타난다. 이때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온열질환 예방그늘휴식, 반드시 기억해야

온열질환을 예방을 위해 가장 더운 낮 12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는 신체 활동 강도가 높은 작업이나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야외활동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 1시간에 10분 정도 통풍이 잘되는 그늘이나 에어컨이 작동되는 안전한 실내에서 휴식 수시로 물과 이온음료 마시기 피부에 물을 뿌리면서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히는 게 중요하다.

만성질환 80세 이상 고령층과 체온 조절 기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는 온열질환에 걸릴 위험이 크다. 무더운 날에는 지나친 신체활동이나 야외활동을 피하고, 어린이는 차에 혼자 있거나 밀폐된 공간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보호자가 특히 신경 써야 한다. 고령만성질환자는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실외 활동 중 수시로 물을 충분히 마셔줘야 한다.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재민 교수는 일사병은 시원한 장소로 이동해 수분을 섭취하면서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호전한다. 이에 비해 열사병은 치사율이 높아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하다체온이 상승하고, 의식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면 시원한 장소로 옮긴 후 젖은 수건이나 부채질 등을 통해 체온을 내려줘야 한다. 휴식 후에도 현기증과 메스꺼움근육경련 등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119에 신고하거나 신속히 병원을 가야 한다고 말했다.

감기와 비슷하지만 다른 냉방병

냉방병이란 단어는 우리나라에서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엄밀한 의미의 의학 용어는 아니다. 냉방병은 여름철 냉방과 관련 일어나는 가벼운 감기와 몸살두통소화불량권태감 같은 임상 증상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볼 수 있다.

냉방병은 지나친 냉방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심해지면 증상이 나타난다. 온도 차이가 크면 클수록 일종의 스트레스로 신체에 작용하는 것이다. 에어컨 찬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면 말초 혈관 수축이 일어나 두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여성은 여름철 노출 부위가 많아 냉방병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에어컨 냉방기능과 제습기능으로 습도가 낮아지면 호흡기 점막이 건조돼 감기와 비슷하게 콧물코막힘인후통재채기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냉방병을 예방하고, 냉방병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에어컨의 찬 공기가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긴 소매 덧옷을 준비하는 것도 좋다. 무엇보다도 실내외 온도가 너무 차이 나지 않도록 지나친 냉방을 피하고, 25~28로 적정 실내 온도와 40~60%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재민 교수는 냉방병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충분한 휴식으로도 호전될 수 있다하지만,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하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