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핑, 위장 내 점액 쓸어담는 채취법…기존 방법 대비 민감도 2배
아주대병원, 새로운 진단법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GIE) 게재
위암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이 국제학술지에 소개됐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 내 강한 산성 환경에서 죽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특이한 균주로, 문제는 이 균이 생존 및 정착하는 과정에서 위 점막에 만성 염증을 유발해 소화성 궤양, 위말트림프종, 위암 등을 일으킨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이기명·노충균 교수팀은 기존의 조직검사가 아닌 ‘스위핑 방법(sweeping method)’을 이용한 진단법이 제균치료 후 확인 검사로 유용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2020년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스위핑 방법이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고, 민감도와 정확도를 크게 올릴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발표한 바 있다.
현재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위 점막 조직을 떼낸 후 진단 키트에 넣어 색의 변화를 보는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법이다.
스위핑은 내시경을 통해 위장 내 점액을 쓸어 담아서 채취하는 방법으로, 기존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법의 일종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단 키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내시경 추적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제균치료 후 즉, 균주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한 상태에서도 기존의 요소호기검사에 비해 민감도가 2배 더 높은 것을 확인했다.
헬리코박터균의 경우 내시경으로 진단하고, 제균치료 후 확인검사는 내시경 없이 환자가 내뿜은 숨을 모아 진단 키트 검사를 하는 요소호기검사를 한다.
반면 제균치료 후 내시경 추적을 해야하는 즉, 염증이 심하거나 궤양이 있거나, 위암을 내시경적 혹은 수술로 제거한 사람들은 내시경과 함께 요소호기검사 모두 시행했다.
이에 연구팀은 “이 새로운 방식이 기존 조직 채취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치료전, 치료후 모두 매우 유용한 검사법임을 확인했다”며 “특히 위 점막 조직 채취로 인한 손상이 없어 항응고제, 항혈전제를 복용중인 환자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명 교수는 “아주대병원은 2020년부터 이 새로운 방식으로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소개되면서 헬리코박터균의 유용한 새로운 진단법으로 인정받고, 보다 널리 알려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소화기내시경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Gastrointestinal Endoscopy, GIE)’에 ‘Comparative diagnostic performance of rapid urease test with the sweeping method versus tissue sampling method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후 조직채취법과 신속요소분해효소 검사의 유용성 비교)’이란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됐다.
관련기사
-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매개모기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 확인
- '뇌척수' 누출 위치 찾고자 한다면 '세브란스병원'으로
- 아토피피부염 치료 선택지 하나더 늘어…릴리 '엡글리스' 국내 허가
- 서울에 ‘말라리아’ 경계령…휴전선 인근 수도권 주민 모기 조심해야
- 요로상피세포암 1차 유지요법 급여 1주년 '바벤시오'…접근성·만족도↑
- 이엔셀 “우리는 ‘정통파 CDMO’…다품목·원스톱 서비스”
- 중환 비율 60%까지 상향…政 '상급종병 구조전환' 청사진 제시
- 급성골수성백혈병, 맞춤형 치료 길 열리나
- 듀피젠트, 중등도-중증 천식 환자 장기 치료 안전성·효능 확인
- 부모님 얼굴에 생긴 이상한 ‘점·상처’, 알고보면 '피부암'일수도
- 간학회-전북도, C형간염 치료율 향상 인식개선 업무 협약
- 유산된 태아조직 활용해 습관성 유산 원인 분석 가능해져
- 레코르다티 소아 신경모세포종 치료제 '콰지바' 약평위 통과 불발
- 수술실에서 마취과 의사가 사라진다…개원가로 ‘점진’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