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은 WHO 지정 1군 발암물질…준비 없는 야외활동 피부암에 노출
‘피부암’은 국내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서구의 암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도 피부암 환자를 많이 볼 수 있다. 피부암 환자는 늘고 있지만, 다른 암에 알려진 정보는 많지 않다. 피부 암을 일으키는 발병 원인은 다양하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는 바로 ‘자외선’이다.
햇빛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피부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손에 꼽힌다. 봄에는 야외 활동이 늘면서 자외선에 노출되기 쉽다. 여기에 환경오염에 따른 오존층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양도 증가한다.
자외선은 우리 몸에 이로운 점도 있다. 하지만, 피부에는 해로운 점이 더 많다. 자외선이 색소질환과 피부암‧광노화, 광과민 질환 등을 일으킨다. 특히 자외선 A와 B는 피부 노화와 피부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외선 A는 파장이 길어 피부 깊이 도달한다. 전신적으로 면역억제를 일으킨다. 자외선 B는 직접 DNA를 파괴해 암 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피부암은 다른 암에 비해 병변이 대부분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 결과가 좋다. 전이 위험률도 낮다.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거나 ▲이미 있던 점의 모양이나 색조‧크기가 변할 때 ▲일반적인 치료에도 낫지 않는 궤양이나 상처가 있다면 전문 의료진을 통한 피부확대경 검사나 조직검사를 권장한다.
자외선이 가장 강한 낮 12~3시 사이에는 야외 활동을 가급적 줄이고, 외출 전 자외선 차단을 위한 양산과 챙이 넓은 모자, 소매 긴 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바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UVA와 UVB 모두 막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희대병원 피부과 정기헌 교수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 전 충분히 바르고, 일광 노출 후에도 수시로 덧발라야 한다”며 “따뜻한 봄 날씨를 만끽하기 위한 외출에 앞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철저한 준비와 함께 장시간 노출을 최소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산 '흑색종치료제' 전임상 데이터, 美 AACR서 공개
- 5년간 40% 이상 발생 증가 '피부암'…원인은 '자외선'
- 치명적인 피부암 손발톱 ‘흑색종’, 두께 0.8㎜ 안 넘으면 보존 치료
- 3세대 항암제 '면역치료제', 면역관문억제제로 불리는 까닭은?
- 피부암 뿌리 끝까지 제거하는 '모즈수술'…세브란스병원, 4000례 달성
- 피부암 환자 최근 5년 40% 급증…동양인이라고 안심 금물
- '주사피부염' 방치하면 피부암 발병 위험 높아져
- 주호민 웹툰작가와 함께하는 서울대병원 블루라이트 캠페인
- 4대 중독 유병률, 스마트폰〉알코올〉도박〉약물 순
- 국내 폐암 환자 절반 가까이 '4기'에 발견…왜?
-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임상연구의 다학제적 접근' 심포지엄 개최
- 방심하다 그만…4월부터 상승세 ‘식중독’의 모든 것
- 중증 건선 치료제 'IL-23 억제제' 시장 판도 변화
- 늘어나는 피부암…내 몸의 점이 피부암일 조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