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최연호 교수에게 듣는 '호산구성 위장관염'
호산구, 백혈구의 일종…누구라도 호산구 검출될 수 있다
'알레르기' 등으로도 장점막에 호산구 보일 수 있어 '오해'
진짜 병일 땐, '장점막' 변형되고 몸에서 단백질 빠져나가

사진 제공=게티이미지

희귀질환이라 흔하지 않은 병인데, 최근 오진으로 과잉 진단되는 '희귀질환'이 있다.

바로 '호중구성 위장관염'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연호 교수는 유튜브 채널 '삼성서울병원'에서 "아이들이 구토라든가 구역질, 복통 같은 것으로 병원에 다니다가 잘 모르겠다고 하면서 큰 병원을 가라고 했는데, 가끔 큰 병원에서 알레르기 같은 게 의심되면서 '호산구성 위장관염이 걱정된다'라는 이야기를 듣는 분이 꽤 있는 것 같다"며 "그 병은 희귀병이다. 쉽게 있는 병이 아닌데 마치 증상이 그것과 비슷하니 그 병처럼 느껴질 때가 많아서 실수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위장관 내 비정상적으로 호산구가 많아져서 침윤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복통과 구토 등이 나타나고 단백질 손실이 동반되며 위장관 주름이 비후(두꺼워짐)된다. 대표적 원인은 음식, 약물 등이 꼽힌다. 현재 이 병은 위내시경 검사로 진단한다. 

흔한 구토와 구역질, 복통과 더불어 어지러울 때 원인을 찾기 위해 이것저것 검사하다가 위내시경 검사를 하기도 하는데, 이때 위내시경 검사 중 우연히 조직검사를 했다가 호산구가 발견될 때 흔히 '호산구성 위장관염'으로 오해된다는 것이 최 교수의 설명이다. 

최연호 교수는 "조직검사에서 호산구가 발견될 때 의사들은 '호산구가 여기 왜 나왔지'라고 반응한다"며 "사실 호산구는 누구한테라도 있을 수 있다. 호산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 감염, 약물 반응, 염증성 질환 등이 원인이 돼 증가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음식을 좀 잘못 먹어서 알레르기가 생겨도 호산구가 장 점막에 쭉 보일 수가 있다"며 "호산구가 진짜 상당히 많아져서 수십 개, 수백 개가 되고 장점막이 변형되고 붓고 내 몸에서 단백질도 빠져나가고 큰 일들이 벌어질 때가 호산구성 위장관염"이라고 설명했다.  

최연호 교수는 "어느 날 내가 증상이 조금 있어서 우리 아이를 데리고 병원에 가서 피검사하고 초음파하고 대형병원에 가서 내시경까지 했더니 호산구가 나오니까 갑자기 우리 아이는 호산구성 위장관염이 돼버린 것"이라며 호산구가 몇 개 보였다는 이유만으로 호산구성 위장관염이 아님에도 그냥 진단을 해버리는 현실을 지적했다. 

오진이 되면 실제 병보다 과한 치료가 이뤄지거나 그 병에 전혀 효과가 없고 몸에 별로 좋지도 않은 약을 쓸데 없이 쓰는 경우가 있어 제대로 병을 진단 받는 것이 치료에 앞서 아주 중요하다.

최 교수는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스테로이드도 쓸 수 있고 다른 여러 가지 복잡한 치료를 할 수가 있다"며 "일반적인 사람들도 가지고 있는 정상 현상일 수도 있는데, 그런 치료를 한다는 것은 내 몸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다. 그럴 필요가 절대로 없기 때문에 조심해야 된다"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최연호 교수는 "전문가의 눈에 띌 정도의 큰 사건이 벌어질 때가 호산구성 위장관염이지 절대 흔한 질환이 아니다. 그래서 좋은 전문가를 찾아서 확인하는 습성도 기르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며 "큰 병과 희귀병은 쉽게 찾아오지 않는다"고 말을 맺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