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지원사업 예산 2023년 430억원→2024년 296억원
질병청, 내년 예산 472억원으로 증액 요청했으나 되려 삭감돼
내년 2만명 이상 저소득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에 차질 우려
김영주 의원 “의료비 미지급 우려…희귀질환자 지원 강화해야”
윤석열 정부가 내년 희귀질환 지원사업 예산을 31%나 삭감하면서 2만명이 넘는 저소득 희귀질환자가 당장 내년부터 더 깊 의료 사각지대에 몰리게 생겼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질병관리청 2024년 예산안 등을 분석한 결과, ‘희귀질환자 지원사업’ 예산이 31% 이상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은 저소득층 희귀질환자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의료비 및 간병비, 장애인보장구 구입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지원을 받는 희귀잘환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희귀질환 산정특례’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의 90%를 건강보험 재정으로 지원받고,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을 통해 나머지 본인부담금 10%를 추가로 감면받을 수 있어 의료비 부담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희귀질환은 진단과 치료비용이 비싸고 장기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저소득층 희귀질환자와 가족들에게는 매우 절실한 복지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매년 2만 명이상의 희귀질환자들이 평균 290만원 수준의 의료비 지원을 받고 있다.
주무부처인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대상 질환을 확대하고, 초고가 약제에 급여 비용 등을 감안해 2023년 예산보다 10% 증액한 472억원을 내년 예산으로 요구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희귀질환자 예산을 대폭 삭감해 296억원만 반영했다. 이는 질병청이 요구안 대비 62%만 반영된 것이며, 2023년 예산 대비 31%가 삭감(134억원 삭감)된 것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희귀질환자에 대한 본인부담상한제 적용을 예산 삭감 사유로 들었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김영주 의원이 문의한 결과, 희귀질환자에 대한 본인부담상한제 도입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즉 시행 계획도 없는 사업의 추진을 전제로 기재부가 예산을 삭감한 것이다.
문제는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예산 삭감과 본인부담상한제 적용 배제로 희귀질환자 지원에 차질이 생길 수 있는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예산 삭감에 따른 지원 축소는 없도록 하겠다면서도 예산 삭감 이후 본인부담상한제까지 미적용될 경우 예산 부족에 따른 의료비 미지급금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답변했다.
김영주 의원은 “본인부담상한제의 적용 여부와 시행 시기 등에 대해 예산당국과 주무부처간에 제대로 내용을 공유하고 협의했더라면 추진되지도 않을 사업 추진을 전제로 예산을 삭감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가 긴축재정 시행을 위해 예산을 주먹구구식으로 편성하고 일방삭감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예산 삭감은 가뜩이나 질병으로 고통받는 희귀질환자와 가족들을 사지로 내보는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말로만 약자복지를 외치지 말고 희귀질환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지원대상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휠체어 의지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 희망 주는 삶 살고 싶어”
- 희귀질환 치료율 높이자…예방·조기진단 지원 법적근거 마련
- 3년만에 극희귀질환 병명 찾았지만…8주 치료에 약값만 2000만원
- 세상에 없던 희귀질환 신약의 등장…우리사회는 얼마나 준비됐나
- "희귀질환, 치료제 유무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특성 고려한 급여 필요"
- 질병청, 내년 ‘1조6213억’ 편성…올해보다 1조 이상 감액
- 한국MSD,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응원 캠페인’ 진행
- 노인 대표 실명질환 '황반변성', 골절 위험도 높인다
- 테라펙스, 유럽서 비소세포폐암 표적항암제 전임상 후속 연구결과 발표
- 세종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워크숍 성료
- 건국대병원, 반월연골판이식술 연간 80건 돌파…전국 최고 수준
- 2027년 전 세계 간담췌학 분야 전문가 부산으로!
- 밤 샌 뒤 푸석푸석한 피부…피부 건강, 일주기리듬이 좌우하는 이유
- '키트루다' 13개 적응증 일괄 급여 확대 도전, 첫 관문부터 좌초
- 전량 수입 의존해온 방사성의약품 핵심 소재 국산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