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에서 탈장·담낭질환 등에도 적용 계획
올해 2월 4세대 로봇수술기 ‘다빈치XI’를 도입, 로봇수술을 시작한 명지병원이 지난 10월 다빈치XI 도입 8개월만에 100례 돌파하며 로봇수술 적용 질환을 확대키로 했다.
명지병원은 지난 7일 로봇수술 100례 돌파 기념행사를 열고 2년 내 500례 달성을 목표로 로봇수술 적용 질환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8일 밝혔다.
앞서 명지병원은 전 서울대병원 로봇수술센터장을 역임한 김현회 교수(비뇨의학과)를 로봇수술센터장으로 영입해 수준 높은 로봇수술시스템을 구축했다.
산부인과 자궁근종 로봇수술을 시작으로 로봇수술을 본격화한 명지병원 로봇수술센터는 전립선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신장암, 갑상선암, 직장암, 구강암 등 각종 암종에 대한 수술은 물론, 자궁근종과 난소종양, 탈장, 담낭절제, 두경부종양 등 광범위한 양성질환 로봇수술을 시행해 왔다.
이를 위해 김현회 교수와 산부인과 송용상 교수 등 명의를 활용한 암 치료 역량 강화는 물론, 경구갑상선수술이나 두경부, 탈장, 담낭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 로봇수술을 확대·응용키로 했다.
명지병원은 특히 로봇수술 중 고난도로 손꼽히는 경구로봇갑상선수술(TORT, Trans-Oral Robotic Thyroidectomy)을 단기간 내 성공하며, 우수한 로봇수술 역량을 선보인 바 있다.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은 아래 잇몸과 입술 부위를 통해 로봇팔을 넣어 수술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지만, 다른 조직과 기관에 손상이 없고 흉터나 목소리 변화 등 부작용이 적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수술법이다.
김현회 로봇수술센터장은 “이 자리가 100례를 기념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도약을 다짐의 자리인 만큼 환자분들의 치료 만족도를 높여나갈 수 있는 센터를 만들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은 “로봇수술센터 구축을 위해 철저한 준비와 첨단 인프라에 아낌없이 투자한 결과, 단기간 내 본격적인 궤도에 진입할 수 있었다”며 “로봇수술 후발주자이지만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이나 담낭절제술 등 남들이 잘하지 못하는 틈새 분야를 공략해 눈에 띄는 성장을 이어갈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일본의 재택의료가 성공한 이유? “자발적 참여 이끈 ‘수가’”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에 최초로 등장한 항암제 '트로델비'는 어떤 약?
- "의료전달체계 개선 시 희귀·난치성 질환 등 의료수요 고려 필요"
- 갑자기 뚝 떨어진 날씨에 저체온증‧심근경색 경계령
- 3대 실명질환 ‘황반변성’ 주사치료에 환자 개별 상황 고려해야
- 가을이라 너무 심한 우울‧무기력감에 시달린다면…‘계절성 우울증’
- 늘어나는 희귀암 '복막암'…진화하는 복막암 치료환경
- "크론병 환자, 생물학적 제제 치료시 내장지방 증가 주의해야"
- 당뇨 환자, 심방세동 있으면 심혈관질환·신부전·당뇨발 합병증 위험↑
- B형간염 치료 개시 기준 바뀌면 매년 3,000명 간암 발생 예방 가능
- '흔하디 흔한' 내과가 사라진다? "환자 늘어도 의사가 없다"
- 건보재정 ‘빨간불’…연간진료비 상위 10%, 보험재정 절반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