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팀, 6만7,530명 데이터 분석결과 발표
당뇨병 환자, 흔한 부정맥 '심방세동' 적극적으로 관리를
당뇨병 환자에게 심방세동이 있으면 당뇨 관련 합병증인 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당뇨발의 발생 위험이 10%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당뇨발의 악화로 인한 하지절단 위험은 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 환자들은 심방세동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이소령·권순일 교수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30세 이상 당뇨 환자 6만7,530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 유무에 따른 당뇨 관련 합병증 발병 위험을 비교한 결과에서 이같이 나왔다고 7일 발표됐다.
당뇨병은 가장 흔한 내과 질환 중 하나로 혈당이 잘 조절되지 못할 경우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심혈관질환, 신기능저하(신부전), 당뇨발이 있다. 이 같은 합병증은 심근경색, 심부전, 투석, 당뇨발 악화로 인한 하지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 환자에서 자주 관찰되는 부정맥인 ‘심방세동’은 불규칙한 맥박과 두근거림, 숨차는 증상을 유발하며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질환으로도 알려졌다. 하지만 심방세동 유무가 당뇨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2009년~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당뇨병 환자를 심방세동 여부에 따라 나누고, 당뇨 관련 합병증(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망막질환, 당뇨발) 발생 위험을 중앙값 7.6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 있는 당뇨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당뇨발 발생 위험이 각각 12%, 23%, 13% 증가했다. 당뇨병성 망막질환은 심방세동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지만, 당뇨병 환자에게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당뇨발에 의한 하지절단 위험이 4.1배로 크게 뛰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심방세동이 당뇨병의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심방세동이 있으면 심방이 비성장적으로 수축해 혈류의 저류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혈전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조성돼 동맥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런 영향이 당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해석이다.
최의근 교수는 "연구를 통해 당뇨 관련 합병증에 미치는 심방세동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당뇨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할 경우, 합병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인 관리와 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B형간염 치료 개시 기준 바뀌면 매년 3,000명 간암 발생 예방 가능
- '흔하디 흔한' 내과가 사라진다? "환자 늘어도 의사가 없다"
-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올해 대한민국 산업 이끈 우수 기술로 선정
- 건보재정 ‘빨간불’…연간진료비 상위 10%, 보험재정 절반 사용
- ‘슬릭백’‧‘초전도체춤’ 따라하다 무릎‧발목‧아킬레스건 부상 위험
- 갑자기 일어설 때 눈앞이 빙그르 아득해진다면…‘기립성저혈압’ 의심
- 어느날 갑자기 변한 목소리로 알아채는 후두암…‘방사선 치료’로 완치
- 급변하는 혈우병 치료 환경…미국·유럽에선 '유전자치료제'도 허가
- [박종훈의 골육(骨肉)종 이야기] 촌지
- 변비·과도한 운동·임신 뒤 '거대 탈장'…로봇수술, 재발·합병증 위험 낮춰
- 28돌 한양대구리병원…'환자중심'으로 한발 더
- "크론병 환자, 생물학적 제제 치료시 내장지방 증가 주의해야"
- "의료전달체계 개선 시 희귀·난치성 질환 등 의료수요 고려 필요"
- 일본의 재택의료가 성공한 이유? “자발적 참여 이끈 ‘수가’”
- 명지병원, 로봇수술 100례 돌파…적용 질환 확대 추진
- 한국인 난치성 전립선암 환자에겐 '자이티가' 초치료 적용이 효과적
- 국립중앙의료원, 국가응급의료통계 20주년 맞아 응급의료포럼 개최
- “10만명당 15.6명 사망 심부전…초고령화사회 2025년 후 대재앙 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