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소비자·환자단체와 간담회…필수의료 확충 위한 방안 논의
소비자단체와 환자단체들이 의대정원 확충과 함께 의사인력이 필수·지역의료 분야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또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 개선이 필요하며, 희귀난치성 질환 등 다양한 의료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과 7일 양일간 서울시티타워에서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의 보건의료 수요자 대표단체들과 보건의료 현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소비자연맹 강정화 회장은 “의대정원 증원의 효과가 현장에서 필수·지역의료의 강화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결과·성과 중심의 보상체계로의 전환 등아 병행돼야 한다”며 이와 관련하여 의료진의 근무여건 개선 등을 촉구했다.
국민들이 질환의 중증도, 응급 여부 등에 따라 적기에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과정에서 희귀·난치성 질환 등 다양한 의료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도 경증 환자의 다빈도 응급실 이용, 상급종합병원 쏠림 현상 등에 의해 중증·응급환자의 의료이용이 저해되고 있다면서 "필요한 곳에 의료자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정부와 수요자단체가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을 제언했다.
필수·지역의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사회적인 논의와 토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는 “국민과 환자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체감 가능한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정부가 시민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은 최종 수요자인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함이며, 추진 과정에서 국민을 대변하는 소비자 및 환자 단체의 의견을 꾸준히 듣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앞으로도 의료현장의 당사자인 의료계뿐만 아니라, 의료 수요가 높은 국민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각계의 사회적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변비·과도한 운동·임신 뒤 '거대 탈장'…로봇수술, 재발·합병증 위험 낮춰
- 당뇨 환자, 심방세동 있으면 심혈관질환·신부전·당뇨발 합병증 위험↑
- '흔하디 흔한' 내과가 사라진다? "환자 늘어도 의사가 없다"
-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올해 대한민국 산업 이끈 우수 기술로 선정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에 최초로 등장한 항암제 '트로델비'는 어떤 약?
- 일본의 재택의료가 성공한 이유? “자발적 참여 이끈 ‘수가’”
- 명지병원, 로봇수술 100례 돌파…적용 질환 확대 추진
- 한국인 난치성 전립선암 환자에겐 '자이티가' 초치료 적용이 효과적
- 국립중앙의료원, 국가응급의료통계 20주년 맞아 응급의료포럼 개최
- 한국인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장기는? '뇌'
- 소외된 소아 암‧희귀질환 치료환경에 '故 이건희 기금' 변혁 이끌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