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곤 원장 "임상 경험 풍부한 의료진 및 전문센터 유무 따져봐야"

# 82세 A씨는 16년 전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았지만 빙판길에 넘어진 뒤부터 무릎에 통증이 생겼다. 통증은 하루가 다르게 잦아져 A씨는 동네 정형외과를 찾았다. 정형외과에서는 '인공관절 재치환술'이 필요하다며 큰 병원으로 가볼 것을 권유했다. 하지만 고령인데다 까다로운 재치환술의 특성상 그를 반기는 병원은 없었다. 여러 병원을 다닌 끝에 수술해줄 병원을 찾았고 A씨는 1시간 남짓 수술 후 나흘만에 통증 없이 걸을 수 있었다. 

인공관절 재치환술은 빙판길 낙상사고 등 외상으로 문제가 생기거나, 인공관절을 오래 써서 닳아 흔들리거나 염증‧감염으로 인해 인공관절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통증을 일으킬 때 하는 수술이다.

재치환술은 골 소실 및 연부조직 손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수술 자체도 까다롭고 처음 수술보다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80세 이상의 고령 환자가 많아 만성질환 합병증의 위험도 따른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인공관절 재수술을 받은 환자 809명 중 80세 이상이 16%를 차지했다. 

인공관절 재치환술 전 후 외상으로 인해 축이 비뚤어졌던 무릎이 바로 잡혔다
인공관절 재치환술 전 후 외상으로 인해 축이 비뚤어졌던 무릎이 바로 잡혔다

인공관절은 대략 15년에서 최장 25년의 수명을 갖는다. 때문에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너무 젊은 나이에 인공관절 수술하기보다 가급적 65~70세 사이에 한 번만 수술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 특히 인공관절 재치환은 골 소실과 연부조직 손상을 동반하는 만큼 수술 자체도 까다롭고, 처음 수술보다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인공관절 재치환술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할 것은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만성 질환에 대비할 수 있는 내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병원을 찾는 좋다.

연세사랑병원(정형외과 전문의) 고용곤 원장은 “100세 시대가 도래하며 인공관절 수술을 한 번 더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인공관절의 수명이 대략 15년에서 최장 25년으로 늘어났지만, 사람의 수명 역시 계속해서 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인공관절 재치환술은 1차 수술에 비해 까다롭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수술이라 의료진의 실력에 따라 천차만별의 결과를 낳기 때문에 의사의 임상 경험이 풍부한지, 병원이 전문재치환술센터를 갖고 있는지 등을 따져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