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재활학회 "수가 신설 등 사회적 투자 나설 때"
"요양원-요양병원-중환자실 전전하는 악순환 끊어야"
중환자 재활치료 수요가 커지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지만 제도적 지원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환자 재활치료가 일부 병원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치료 과정 일부로 들어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8일 서울 세텍(SETEC)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중환자재활학회 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홍석경 회장(울산의대 교수)은 "중환자 재활치료 저변 확대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는 일부 병원 의지만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사회적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역설했다.
현재 중환자 재활치료 관련 수가는 전무하다.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대학병원 가운데서도 일부만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설·장비부터 인력까지 병원이 손해를 무릅써야 한다. 단순물리치료 수가를 쓸 수도 있지만 15분이라는 '제한시간'이 생긴다.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경과를 모니터링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중환자재활학회는 중환 재활 관련 수가를 신설하고 중환자실과 병실, 재활치료실을 연계하는 치료 체계 수립을 강조하고 있다. 요구하는 수가 수준은 최소 12만원이다. 병원이 중환자 치료 후 단계로서 최소한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이다. 현재 단순물리치료 수가는 4,500원선이다.
이번 3차 상대가치점수 개편으로 중환자 치료 분야 보상이 강화됐지만 재활치료는 제외됐다. '우선 중환자실 수가부터 현실화하자'는 목소리에 밀렸다. 그러나 학회는 "이제 더 이상은 밀려날 수 없다"고 했다.
기획위원회 박진영 교수(연세의대)는 "적절한 재활치료를 받지 않으면 환자는 운동기능 장애는 물론 정신 건강 악화까지 다양한 합병증에 시달린다. 퇴원한 후에도 일상 회복이 어렵다"며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합병증을 조금이라도 피하려면 가족이 중환자 옆에 늘 대기하며 간병할 수밖에 없다. 실제 경제 활동을 포기하고 간병에 전념하는 보호자들이 많다"고 했다.
박 교수는 "관련 수가가 확보되면 최소한 의료진이 이를 악물고 해야만 해낼 수 있는 영역은 벗어난다. 의료진이 환자를 담당하는 기간만큼은 가족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 직장을 그만두지 않아도 된다. 퇴원 후 생활도 더 빠르게 안정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치량 기획이사(성균관의대 교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중환자실 입실 환자는 평생 쓰는 건강보험료 90%를 중환자실 치료 1년 만에 소진한다. 중환자 재활치료가 활성화되고 환자가 무사히 회복해 가정으로 돌아간다면 이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정 교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부양할 인구는 늘어나지만 이들을 돌볼 수 있는 인력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수많은 환자가 요양원과 요양병원, 중환자실을 맴돌다 끝내 임종한다"며 "중환자 재활치료는 이 슬픈 사이클을 끊을 수 있다"고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대사이상지방간질환자, 알코올 섭취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높아
- 나이 들수록 근력운동으로 ‘근감소증’ 막아야 하는 이유…“이것”
-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눈 뻑뻑해지는 ‘안구건조증’ 주의보
- 무시무시한 ‘췌장암’…발견 어렵고 찾아도 손쓰기 어려워
- 연말 술자리가 줄 섰다…간 걱정이면 ‘자가면역 간 질환’ 검사 받아야
- 찬바람 불어 전국이 꽁꽁 영하권…뇌경색‧뇌출혈, ‘뇌졸중’ 주의보
- "탯줄 동맥 2개여야 하는데"…은근 흔한 '탯줄 기형' 올댓가이드
- 아토피피부염학회 "생물학적제제↔JAK억제제 '교차투여' 허용을"
- "의사라서" 하기 힘든 입법 "의사라서 가능했다"
- 척수성근위축증신약 ‘에브리스디’…"폭넓은 환자에서 고무적 결과 확인"
- 만성부비동염, 방치하면 뇌수막염·뇌농양 등 치명적 합병증 위험 노출
- 명지병원 MJ심장혈관센터, 17일 심포지엄 성료
- 송희정 교수, 혈전용해제·용해술 효과 없는 '뇌경색'에 새 치료법 제시
- 삼성창원병원-마산의료원, 호스피스 완화의료 발전 위한 협약체결
- 정기영 교수, 국제하지불안증후군연구회 아시아 이사 선출
- 빈대 물린 뒤 전신 알레르기 반응…시원한 보습제도 도움돼
- 건국대병원, 27일 ‘시원한 위, 편안한 위’ 건강강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