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배정호 교수팀, 연구 통해 최초로 밝혀내
최근 의료현장에 도입되고 있는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시스템의 잦은 오경고나 위양성 발생이 검사 중 인공지능시스템에 대한 검사자의 신뢰도를 저하해 오히려 선종과 같은 중대한 알림을 간과하게 되는 '양치기소년 효과(Crying wolf effect)'를 초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는 소화기내과 배정호 교수가 지난 16~18일 열린 소화기연관학회 국제소화기학술대회(KDDW 2023)에서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시스템의 위양성률에 따른 임상 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로 이같은 사실을 최초로 밝혀 최우수 초록 구연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소속 8명의 소화기내과 교수진이 다른 위양성률(False positive rate, 대변 및 주름 등 정상 상태를 용종으로 잘못 인식하는 비율) 성능을 가진 2가지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시스템을 1년간 약 3,000건의 검진 대장내시경에서 사용했을 때 의사들의 종양성 용종의 탐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연구에 활용된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시스템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와 아이넥스코퍼레이션에서 공동 개발한 모델로 두 시스템 모두 100%의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하지만 검사 중 위양성의 개수가 낮은 모델(ENAD-CADe)만이 의사들의 선종발견율 (대조군 44.1% vs AI군 50.4%)과 검사당 선종발견 개수(대조군 0.73 vs AI군 0.91)의 향상에 도움이 됐다.
이번 연구에서 대장내시경검사 중 인공지능시스템의 잦은 오경고나 위양성의 발생이 검사 중 기기에 대한 검사자의 신뢰도를 저하해 오히려 선종과 같은 중대한 알림을 간과하게 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향후 AI 시스템의 개발과 도입에서 병변에 대한 높은 민감도뿐만 아니라 낮은 위양성률을 함께 갖춘 시스템이 임상에서 활용돼야 대장암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 대장내시경검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정호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 대장내시경의 여러 상용화 제품이 진료현장에서 도입되고 있는 단계이지만 인공지능 의료기기의 효과는 사용자의 지식수준 및 시스템의 미세한 성능 차이에 따라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며 “향후 의료진과 인공지능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인공지능의료기기들이 환자에게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 국내 '섬유근육통' 발생률 매년 2.3%↑…"조기 치료 토대 마련 필요"
- “항생제 내성 증가한 한국서 폐렴구균 백신 예방 必”
- 임신‧출산‧폐경에 고장나는 여성 몸…60세 이후 ‘골반장기탈출증’ 급증
- 면역항암제 '테빔브라', 진행성·전이성 식도암 신약으로 국내 허가
- [칼럼] 정확한 유병률조차 알지 못하는 희귀질환 ‘종양성 골연화증’
- 서울대병원 의료진, 팔로사징 환자에게 맞춤형 新치료 시도해 성공
- 빈대 물린 뒤 전신 알레르기 반응…시원한 보습제도 도움돼
- 여성 당뇨환자, 생리 기간 길수록 중증저혈당 위험 낮아
- 치료성적 낮은 '담낭암'…담석·담낭용종·담낭염 적극적 치료 필요
- 진료과다·초저출산·저수가·고임금에 소아과 경영 악화…"제도 개선을”
- 다제내성결핵 치료기간 줄인다…학회, 20개월→9개월 단기치료 권고
- 초등학교 입학 전후 나타나는 '근시', 드림렌즈만이 답이 아니다
- 종양 내 '혈류' 증가한 1cm 미만 '갑상선유두암', 암 진행 위험 높다
-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 통합 성과보고회 성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