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온증으로 의식저하 이르면 위험…젖은 옷은 바로 갈아 입어야
북극 한파가 몰아치면서 한낮 수은주도 영하 밑을 맴돌고 있다. 가정마다 수도계량기가 동파되는 등 한파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우리 몸도 추위를 이기기 위해 보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때다.
겨울철 대표 질환은 ‘한랭질환’이 우선 손에 꼽힌다. 하지만, 한랭질환은 ‘겨울철 평범한 일’이나 ‘따뜻한 곳에서 조금 쉬면 괜찮아지는 일’ 등으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작년 한랭질환으로 병원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447명, 사망에까지 이른 환자는 12명이었다. 한랭질환을 마냥 가볍게 넘겨서는 안 되는 이유다.
‘저체온증’이 대표 한랭질환이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섭씨 35℃ 이하로 내려간 상태다. 저체온증에서 중요한 것은 의식 저하다. 몸이 차가워지면서 의식이 처지는 경우 빠르게 119에 신고하고 병원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병원에 오기 전까지 가능한 몸을 따뜻하게 하고, 의식이 명료하면 달고 따뜻한 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
동상과 동창도 조심해야 한다. 눈을 밟으면 신발이 젖어 발에 쉽게 동상·동창이 생길 수 있다. 동상과 동창은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절단까지 이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동상‧동창이 의심될 때는 젖은 옷은 제거하고, 마른 옷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바람에 노출되는 것도 피해야 한다. 응급처치 후에도 촉감이나 피부색 등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병원 응급실을 찾아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이재희 교수는 “전국에 급격한 한파가 시작되면서 신체 적응력이 다소 떨어졌을 것이다. 특히 노인‧영유아와 기저질환자는 체온유지와 혈액 순환 등 신체 능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기 쉽다”며 “저체온증이나 동상‧동창이 의심되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 응급실을 찾아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소백산에 눈꽃 장관…겨울 산행에 발목염좌‧족저근막염 주의해야
- 내년부터 궤양성 대장암, 직결장암 등 중증질환 환자부담 준다
- 국산 항암제 '렉라자', 글로벌 진출 첫발 떼다
- "변비 걸리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2배 이상 높아진다"
- 중증천식치료제 ‘테즈파이어’, 지난 21일 국내 상륙
- [헬스로그 명의] 수면장애로 나타나는 기면병…병의 기원, 뇌질환이었다
- 인구고령화에 뇌경색 환자 작년 52만명 넘어…진료비도 2조원 육박
- 65세 이상 어르신 빙판길에 넘어지면 10명 가운데 8명 ‘골절상’
- 날씨 춥다고 집콕으로 스마트폰만 잡고 있으면…‘목디스크’ 부른다
- 중년 아재들의 오줌발이 겨울에 더 약해지는 이유…‘전립선 비대증’ 의심
- 약가 우대하고 제도 개선해 "신약 가치 반영하겠다"는 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