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2018~2022년 뇌경색 환자 건강보험 진료현황 공개
인구고령화에 뇌경색 환자가 지난해 52만명을 넘어서면서 뇌경색 진료비도 지난해 1조9,200억원으로 2조원에 육박할만큼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뇌경색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한 데서 확인됐다.
뇌경색 진료인원은 2018년 48만4,411명에서 2022년 52만1,011명으로 3만6,600명(7.6%)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8%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뇌경색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는 70대가 30.1%(15만6,729명)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29.4%(15만3,358명), 60대가 25.1%(13만751명) 순서로 60대 이상이 84.6%를 차지했다.
뇌경색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2년 인구 10만명당 1,013명으로 2018년 948명 대비 6.9%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뇌경색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7,469명으로 가장 많았다.
뇌경색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8년 1조4,798억원에서 2022년 1조 9,299억원으로 2018년 대비 30.4%(4,501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뇌경색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38.0%(7,328억원)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8.7%(5,533억원), 60대가 20.4%(3,946억원) 순이었다.
5년간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8년 305만4,000원에서 2022년 370만4,000원으로 21.3% 증가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8년 279만1,000원에서 2022년 340만8,000원으로 22.1%, 여성은 2018년 338만1,000원에서 2022년 410만7,000원으로 21.5%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신경과 서권덕 교수는 "뇌경색의 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심장질환의 유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70대 이상에서 뇌경색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며 "뇌경색이 한 번 발병한 사람은 재발 방지를 위해 약물을 지속 복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날씨 춥다고 집콕으로 스마트폰만 잡고 있으면…‘목디스크’ 부른다
- [BOOK소리] 미국 노년의학 전문의가 전하는 '최고의 노후' 비법
- '최선을 다하라'에 대한 오해…내 능력의 100% 아닌 80%가 '최선'이다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위암 1차와 조기 폐암 치료 적응증 추가
- 소아 뇌전증 완치?…소청과醫 "광고 한의사 면허취소 요청할 것"
- '타그리소'·'렉라자',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에 급여…'코셀루고' 건보 적용
- 양성자펌프 억제제 장기간 복용 시 식도암·췌장암 등에 걸리기 쉬어
- "임신성 두통, 출산 후 뇌졸중 발생 위험 높인다"
- [칼럼] 미충족 수요 높은 소아 전신 홍반 루푸스 치료 환경
- 직장 내 괴롭힘, 여성보다 남성 정신건강에 더 큰 악영향 미쳐
- 류마티스관절염, 폐암 위험 49%↑…"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시 금연을"
- 희귀 심장병 신약 '빈다맥스'의 조기 사용, "사회적 비용 절감에 효율적"
- 재발성 대장암은 대부분 수술 불가?…"수술 적응증 꽤 넓어져"
- 배세포종 치료제 '블레오마이신', 표준용량보다 감량해도 효과 비슷
- 충북대병원, 충청권 대학병원 첫 디지털병리시스템 구축 완료
- 중증천식치료제 ‘테즈파이어’, 지난 21일 국내 상륙
- 분당서울대병원, 모든 치료 성적 공개한 최신 아웃컴북 발간
- "변비 걸리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 2배 이상 높아진다"
- 소백산에 눈꽃 장관…겨울 산행에 발목염좌‧족저근막염 주의해야
- 연일 매서운 북극 한파에 저체온증‧동상‧동창 등 ‘한랭질환’ 주의보
- 약가 우대하고 제도 개선해 "신약 가치 반영하겠다"는 政
- ‘누에 단백질’, 소·돼지 판막 등 인공 판막 대체 가능성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