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MRI와 뇌파검사 기반 멀티모달 융합 연구결과 발표
시각, 인지, 사회성, 감정 처리 등 관련 부위 뇌이상반응 확인
최정석 교수 “게임 적정 시간 즐겨 건강한 취미로 활용되길”
인터넷 게임 중독이 뇌 기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을 통해 다시금 확인됐다. 지난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 이용 장애(Gaming Disorder)’에 정식 질병코드를 부여한 뒤 국내도 2025년까지 질병 코드 도입 여부를 결정 예정인 가운데 나온 연구여서 관심이 집중된다.
삼성서울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교수 연구팀이 게임 중독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18~39세의 인터넷 게임 중독 치료 환자 26명과 정상 대조군 25명 대상으로 뇌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해 뇌활동을 측정하는 '기능성 MRI(functional MRI)'와 특정 자극에 대해 발생하는 대뇌의 전기적 반응을 두피 부위에서 기록한 뇌파를 파악하는 '사건 관련 전위 뇌파검사(event-related potential EEG)'를 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인터넷 게임 중독에 대한 기준은 하루에 4시간 이상, 1주에 30시간 이상 게임을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정했다. 정상 대조군은 하루 2시간 미만으로 게임 시간 조절이 가능한 사람들로 구성했다
검사 특성에 따라 기능적 MRI는 뇌 영역의 활동성을 관찰해 기능 장애 여부 판단이 가능했고, 뇌파검사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뇌 영역마다 가진 기능을 조사하는데 활용됐다.
연구팀은 두 검사를 모두 시행해 시간적 제약이 있는 기능성 MRI와 공간적 제약이 있는 뇌파검사 단점을 상호보완해 정확성을 높였다. 기능성 MRI 검사는 대상자들이 깨어 있지만 특정 생각을 하지 않고 쉬고 있는 상태에서 시행됐다. 뇌파검사 시에는 이어폰을 통해 들리는 자극에 따라 버튼을 눌러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검사 결과 환자들은 정상 대조군들에 비해 기능성 MRI 검사에서 전두엽과 두정엽 부위 뇌 활성이 증가했고, 청각 자극에 대한 뇌파 신호 진폭은 감소했다. 또 우측 하측두회와 우측 안와회, 일부 후두부에서 기능성 MRI와 뇌파검사 모두 반응이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좌측 해마와 우측 편도체에서는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검사 종류에 따라 특정 부위는 양의 상관관계로 과민하게 반응하거나, 일부는 음의 상관관계로 둔감하게 반응하는 등 게임 중독자들은 뇌 구조 간 정보 처리가 불균형하다는 의미다. 가장 많은 부위에서 상호작용이 확인된 후두엽은 시각 중추가 있어 눈으로 본 물체의 모양이나 위치, 운동 상태를 분석하는 곳이다.
측두엽에 위치한 우측 하측두회는 인지 기능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하여 의미 기억 외에도 언어, 시각, 지각의 특정 양상과 감각 기능까지 조절한다. 전두엽 아래 눈 뒤에 위치한 안와회는 ‘안와전두피질 외측’의 일부인데, 안와전두피질 외측 영역은 처벌과 관련된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하는데 기여한다.
측두엽, 후두엽 등 여러 뇌 영역의 피질에서 뇌 활성의 변화가 관찰되고, 기능성 MRI와 뇌파검사 반응이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은 인지 처리 능력이 비효율적으로 발휘돼 결과적으로 뇌의 기능이 저하됐음을 의미한다.
가장 좋은 예로 해마와 편도체 사이 상호관계는 감정에 대한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중독에 대한 욕망에 반응한다는 것이다. 축적된 인터넷 게임 습관과 감정에 대한 기억에 따라 게임 중독자들의 해마와 편도체 기능이 약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최정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게임에 중독되면 실제 뇌 인지 기능과 감정 처리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게임 중독이 실제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게임에 과도하게 빠져들지 말고 건강한 취미생활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림프종 3차 치료 환경 개선 기대 높인 ‘룬수미오’‧‘컬럼비’
- 협심증 의심환자에서 관상동맥 미세혈관 기능의 남녀 차이 규명
- [신년기획] 코로나19에 전쟁까지…국산 항암신약 '렉라자' 파란만장史
- 혈액암 신약 '보술리프', 국내 '허가 적응증'과 '급여 기준' 너무 달라
- 뇌종양에 시도되는 유전자치료…올해 식약처 통과될까?
- 난소암·유방암 원인으로 알려진 BRCA 유전자, 망막모세포종도 초래
- 국내 최초 유일 신경섬유종증 치료제 ‘코셀루고’, 1일부터 보험급여
- ‘파킨슨병’과 구분하는 ‘파킨슨 증후군’…방문재활로 호전 기대
- 겨울 칼바람 속 5분 이상 뻐근한 흉통 반복된다?…‘협심증’ 의심해봐야
- 위내시경검사 6개월 전에 해서 안심했는데…갑자기 '위암' 진단?
- [신년기획] ‘잠재적 범죄자’ 위협에 청진기 놓는 소아응급실 의사들
- 마스크 의무 해제 후 응급실 찾는 소아 환자 61% 늘어
- 폐암 항암신약 '타그리소', 이달부터 1차 치료에 급여 적용
- [신년기획] K-블록버스터 항암신약 ‘렉라자’, 그 탄생 비화
- 당원병 필수식이 '옥수수 전분', 새해부터 정부 지원 받는다
- 새해둥이 첫 선물, 탯줄도장·손발조형보다 1초 컷 '안저 사진' 촬영을
- [희귀질환 환자의 시선] 희귀질환 '미진단'과 '진단'의 차이
- 새해 올바른 건강습관…콜라 마신 뒤엔 입 헹구고 30분 후 양치질을
- [칼럼] 진행성 간암에서 장기 생존 가능성 높인 '면역항암제'
- 한순간 청력 앗아가는 '돌발성 난청', 어지럼증 있으면 다른 치료 필요
- 고열과 근육통 조합은 독감?…옆구리 근육통일 땐 '콩팥' 문제
- 확장성 심근병증 치료기술 발달…심장이식 대신 '인공심장' 넣어 치료
- 비만 고민으로 ‘지방흡입’에도 관심 보이는 ‘꽃중년’ 늘어
- 녹내장으로 두통 생길 수 있다…방치하면 큰일나는 ‘이차성 두통’
- 희귀의약품 '울토미리스', 전신 중증 근무력증 치료 적응증 추가
- 겨울철 아이가 토하는 이유…"백발백중 노로바이러스감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