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후원금 활용 K-POP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 지원 예정
서울대병원은 YG엔터테인먼트가 인공와우 이식수술 환아의 치료와 음악재활을 지원하기 위해 1억원의 기금을 전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후원금은 서울대어린이병원 인공와우센터에서 소아 인공와우 이식 대상자들에게 수술 및 재활비용을 지원하고, ‘청각 재활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환자 지원 및 연구를 진행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와우(달팽이관)’는 귀의 가장 안쪽인 내이에 위치하며 듣기를 담당하는 청각기관이다. 이 부위가 손상되어 보청기로도 효과가 없는 난청 환자는 청각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인공와우’를 이식해야 한다.
매년 유전성 난청, 희귀-난치성 질환, 생후 발생한 뇌막염 등으로 인해 고도의 난청을 앓는 100여명의 환아가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는다. 수술 후에는 청력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도록 인공와우를 조율하는 정기 검사를 수년간 받아야 하며, 청력과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주 1~2회 꾸준한 재활치료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처럼 적절한 수술과 재활을 마친 환아들에게도 ‘음악감상’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인공와우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음이 22개밖에 되지 않아 소리의 높낮이 구분이 힘들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은 인공와우 이식 환아들이 언어발달을 넘어 음악 청취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YG엔터테인먼트의 후원금을 통해 K-POP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환자 연계 및 연구에 돌입한다.
이제껏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재활치료 프로그램은 많았으나, 서울대병원과 YG가 손잡고 개발에 나선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선보인 적 없던 새로운 단계의 재활 프로그램이 될 전망이다.
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인공와우센터 이준호 교수와 희귀질환센터 채종희 교수가 각각 책임연구자와 공동연구자를 맡고, 오는 3월부터 소아이비인후과 인공와우센터 전담교수로 근무하는 이상연 교수가 연구담당자로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인공와우센터는 1988년 국내 최초로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시행한 이래 2023년까지 와우이식을 3,000례를 돌파하며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선도하고 있다.
YG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세상의 아름다운 소리를 찾아주는 일에 함께할 수 있어 뜻깊다”며 “음악 치료를 통해 더 많은 아이가 일상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길 바라며, 앞으로도 음악을 통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상연 교수는 “난청 유전자 검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인공와우 이식을 넘어서 인공와우 이식 환아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전후 평가 및 치료 등 각 세션에서 후원처의 선한 뜻이 잘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최은화 어린이병원장은 “어린이병원에 내원하는 희귀질환 환아의 상당수가 청각장애를 앓고 있어 연구와 지원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선뜻 손 내밀어 주신 YG 측에 감사드리며,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은 희귀질환 환아들이 즐거운 음악으로 희망찬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내 입 안의 불청객 '풍치'…칫솔질·치간칫솔질·스케일링 3단 구강관리를
- 10년 지켜온 소아전문응급센터 떠나는 소청과 교수의 ‘일침’
- 월경과다‧생리통‧골반통으로 30~4대 여성 괴롭히는 ‘자궁근종’
- 옆구리 통증과 혈뇨 보일 때는 이미 많이 진행했을 ‘신장암’
- 환자들의 호소 통했나…엔허투·일라리스, 약평위 통과
- 성인 후천성 혈우병 A 출혈 치료제 '오비주르', 1일부터 건보적용
- 서울, 제주 시궁쥐 4.4%서 E형 간염바이러스 나와…국내 ‘첫’ 발견
- 바벤시오, 요로상피세포암 1차 유지요법 표준치료제 가치 우뚝
- 2주마다 사설구급차 타야 하는 중증 폼페병 환우들…"치료환경 개선을"
- "소아중증외상환자 사망률 개선 위해 소아외상센터 운영 必"
- 초콜릿처럼 단음식 달고 사는 여성에게 '질염' 위험 높다!…대체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