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교수, 국내 최초로 CT로 관상동맥 기능성협착 중등도 예측법 제시
명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민석 교수가 국내 최초로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전에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기능성협착의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진단법을 세계흉부외과학회에 발표해 관심이 집중된다.
명지병원은 김민석 교수가 지난달 27~29일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제60차 세계흉부외과학회(The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학술대회에서 이같은 진단법을 제시한 관상동맥우회술 분야 임상연구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심장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 기능성협착의 중증도 예측’ 주제 연구에는 국내 최초로 관상동맥우회술 전 CT촬영으로 관상동맥 내 혈액 흐름이 제한되는 기능성협착의 중증도를 예측·진단해 수술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기능성협착의 중증도를 수술 전 예측·진단할 경우 환자의 심혈관 상태를 더 정확히 이해하고, 수술 시 문합하는 혈관의 종류 및 위치를 미리 결정하는 만큼 수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장기적으로도 도관의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회에 참석한 세계 심장혈관외과 전문의들로부터 많은 질문과 토론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이외에도 김민석 교수는 ‘관상동맥수술 전 심한 손상을 받았다고 심에코검사로 진단된 심근의 관상동맥우회술 후 회복' 주제 연구도 발표했다. 심근이 심한 손상을 입을 경우에 심장은 수축기능을 잃는데, 이러한 심근일지라도 관상동맥우회술 후 도관의 개통성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그 기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밝힌 연구다.
이번 연구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도관의 개통성이 유지된다면 심한 심근 손상 환자에서도 수술 후 효과가 있다는 것이 규명됨으로써, 수술 후 개통률 성적이 높은 명지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팀의 수술 후 환자 관리와 회복의 우수성이 입증된 셈이다.
김민석 교수는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국내 2위에 해당할 만큼 생명에 직결된 위험한 질환”이라며 “심혈관질환의 시술부터 수술, 이식, 재활까지 전방위적 치료를 통해 축적된 임상경험과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심혈관 건강에 앞장 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궤양성대장염 신약 '제포시아' 등판…주사제 아닌 경구제로 편의성 UP
- 심평원, '과다 의료 이용’ 기준 마련 착수…고가약 관리체계도 개선
- 갈수록 뚱뚱해지는 대한민국…비만한 소아청소년, 이젠 5명 중 1명 꼴
- 위 선종 환자, 내시경절제 후 ‘헬리코박터균’ 없애면 위암 발생 위험↓
- 은평성모병원이 '적자' 소아응급실 운영하는 이유
- 올해 국산 항암신약 '렉라자' 글로벌 임상 결과 도출…美 허가도 기대
- 스핀라자 급여 3건 또 ‘불승인’…심평원, 운동기능 유지 입증 못해
- 설 명절 흘려듣지 말아야 할 부모님 건강 이상징후 포인트
- 시력의 성장이 멈춘 ‘약시’…만 7세 이전 반드시 치료해야
- [칼럼] 어떤 암을 희귀암이라고 하나요?
- 코에 박힌 점, 블랙헤드인줄 알았더니 '못 빠진 털'?…짜내면 모공만 커져
- 지지부진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급여 확대, 우려가 현실로
- 소아암에도 절실한 '정밀의료'…꽉 막힌 진단·치료 흐름 뚫어야 한다
- 간암 치료성적 2배 넘게 올린 비결 '정기검진'…"간암 정기검진 잘 해야"
- 암 억제 유전자 문제로 초래되는 '유전성뇌종양', 나이 들면 크기 준다?
- 항암제 '아바스틴' 국산 바이오시밀러, 600명 투약 뒤 좋은 결과 보여
- 서울대병원, 비수도권 첫 '중입자치료센터' 건립…난치성 암 치료 중점
- 재발 잦고 조기 진단 어려운 '신세포암'…치료환경 개선 위한 과제는?
-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식품’은 다르다…설 선물 꼼꼼히 봐야
- ‘전기자극’으로 간암 치료…세브란스, 국내 최초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