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2023 비만팩트시트 발간
비만율 男 26%·女 12%로 남녀 차이 커
비만학회, "적극적 비만 관리·치료 필요"

최근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갈수록 뚱뚱한 대한민국이 되어가고 있다.사진 제공=게티이미지
최근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갈수록 뚱뚱한 대한민국이 되어가고 있다.사진 제공=게티이미지

최근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갈수록 뚱뚱한 대한민국이 되어가고 있고, 이는 앞으로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전문가단체의 예측이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6일 대한비만학회가 발간한 2023 비만 팩트시트 ‘숫자로 보는 비만’에 따르면, 남아의 경우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로 약 2.5배 증가했고, 여아는 2012년 8.8%에서 2021년 12.3%로 약 1.4배 늘었다. 2021년 기준으로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9.3%로 5명 중 1명이 비만인 셈이다.

비만학회 언론홍보이사 허양임 교수는 “소아청소년들의 비만 문제로 손실된 사회경제적 비용은 1조3600억원에 달한다”며 “우리나라 소아청소년들의 탄산음료 등 당 섭취는 증가하고 채소 섭취 등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식습관을 갖는 경우가 줄고 있다. 또한 야외 놀이가 사라지고 수면시간이 불규칙해졌으며 TV와 컴퓨터 등 미디어를 시청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더욱 비만율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소아청소년의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보면 10~12세 소아는 21.4%, 16~18세 청소년은 21.7%의 유병률을 보인다. 소아청소년 비만은 의학적으로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 나이대에서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 보다 20% 이상 많이 나가거나, 같은 연령대에서 체질량지수(BMI)가 상위 5%인 경우를 말한다.

성인과 마찬가지로 소아청소년의 경우에도 복부비만 유병률 또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였는데 2021년 소아청소년 복부비만 유병률은 17.3%로 조사됐다. 남아의 경우는 2012년 대비 3.1배 증가한 22.3%의 복부비만 유병률을 보였고, 여아의 경우 2012년 대비 1.4배 증가한 12.1%의 복부비만 유병률을 보였다. 

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홍용희 교수는 “소아청소년기에 비만할수록 중년기에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심뇌혈관질환을 앓고 사망하게 될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청소년 비만은 열등감, 우울증, 낮은 자존감, 부정적 자아관 등 정서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비만학회는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