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부산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착공식 열려…2027년 하반기 개원
서울대병원이 비수도권 지역에 국내 최초로 중입자치료센터를 건립한다. 세브란스병원의 중입자치료센터에 이어 국내 두번째 중입자치료센터가 생기는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7일 오후 2시 부산시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가속기실에서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착공식은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의 공종별 계약 체결 및 착공을 기념하고,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사업의 진행 현황을 대내외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행사에는 서울대병원 김영태 병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성경 제1차관, 부산광역시 박형준 시장,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동만 국회의원, 기장군 정종복 군수 등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기장 중입자치료센터는 지하 2층·지상 2층, 연면적 13,657㎡(약 4,100평) 규모로 건립되며, 총 공사비는 약 250억원이다. 2016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완공된 건물을 토대로, 회전 갠트리 치료실 증축, 진료실 및 치료실 리모델링, 가속기실 설비 시공 등이 진행되어 치료 공간을 최적화할 계획이다.
약 3년간의 공사 및 인수검사를 거쳐 중입자치료센터는 환자 진료 영역, 고정빔 치료실, 회전 갠트리 치료실, 가속기실, 기타 연구·실험실 등을 갖추고 2027년 하반기에 개원 예정이다.
개원 후에는 전립선암을 비롯해 두경부암, 췌장암, 간암, 폐암, 육종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환자를 치료할 예정이다. 특히 X-선 치료 기법으로 부작용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 및 난치성 암종 환차 치료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중입자치료는 높은 치료효과와 낮은 부작용으로 평가받는 최첨단 암치료 기술이지만, 국내에는 중입자치료센터가 세브란스병원 1곳 밖에 없어 비수도권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이 제한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중입자치료센터의 개원으로 비수도권에서도 최고 수준의 중입자치료를 받을 수 있게 돼 의료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태 병원장은 “최첨단 기술과 해당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인 서울대병원 중입자치료센터는 암 진단 및 치료 분야에서 연구와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며 “서울대병원은 체계적인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개원 준비와 함께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난치성 암 치료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 향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젠 심장의 작은 혈관 '관상동맥' 기능성협착도 CT로 진단한다
- 궤양성대장염 신약 '제포시아' 등판…주사제 아닌 경구제로 편의성 UP
- 심평원, '과다 의료 이용’ 기준 마련 착수…고가약 관리체계도 개선
- 갈수록 뚱뚱해지는 대한민국…비만한 소아청소년, 이젠 5명 중 1명 꼴
- 저소득층 당뇨 환자, 우울증 위험 더 높아…"당뇨치료 종합적 접근 필요"
- 위 선종 환자, 내시경절제 후 ‘헬리코박터균’ 없애면 위암 발생 위험↓
- 은평성모병원이 '적자' 소아응급실 운영하는 이유
- 올해 국산 항암신약 '렉라자' 글로벌 임상 결과 도출…美 허가도 기대
- 스핀라자 급여 3건 또 ‘불승인’…심평원, 운동기능 유지 입증 못해
- 설 명절 흘려듣지 말아야 할 부모님 건강 이상징후 포인트
- 시력의 성장이 멈춘 ‘약시’…만 7세 이전 반드시 치료해야
- [칼럼] 어떤 암을 희귀암이라고 하나요?
- 코에 박힌 점, 블랙헤드인줄 알았더니 '못 빠진 털'?…짜내면 모공만 커져
- 1차 전립선암 그레이존 감별력, '전립선건강지수'·'PSA 밀도'로 높인다
- 지지부진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급여 확대, 우려가 현실로
- 소아암에도 절실한 '정밀의료'…꽉 막힌 진단·치료 흐름 뚫어야 한다
- 간암 치료성적 2배 넘게 올린 비결 '정기검진'…"간암 정기검진 잘 해야"
- 암 억제 유전자 문제로 초래되는 '유전성뇌종양', 나이 들면 크기 준다?
-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식품’은 다르다…설 선물 꼼꼼히 봐야
- 항암신약 '프루킨티닙', 대장암 이어 위암에서도 빠르게 효능 입증
- 조용히 떠날 준비하는 전공의들 "장기전이다"…병원들 "폭풍전야"
- 분당서울대병원 김연욱 교수, 세계폐암학회 다학제위원회 위원 위촉
- 새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들어온다…한국릴리 '옴보', 국내 허가
- 인구고령화·저출산 맞물려 국내 뇌종양 발생 패턴 바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