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주현 교수에게 듣는 '야간뇨' 원인 질환

밤중에 화장실에 가느라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야간뇨' 문제로 고통스럽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생활습관을 바꿔도 야간뇨가 계속된다면 그때는 만성신부전과 전립선비대증과 같은 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서울아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주현 교수는 유튜브 채널 '서울아산병원'에서 "야간뇨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질환으로 인한 야간뇨도 있지만, 대부분은 잘못된 수분섭취 습관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면서도 이같이 설명했다. 

박주현 교수는 "밤마다 수차례 화장실에 가면서도 시원하게 소변 보기가 어렵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노력을 해볼 수 있다"며 "대부분은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5~6번씩 가던 야간뇨를 1~2번으로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밤중에 화장실에 가느라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야간뇨' 문제로 고통스럽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생활습관을 바꿔도 야간뇨가 계속된다면 그때는 만성신부전과 전립선비대증과 같은 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밤중에 화장실에 가느라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야간뇨' 문제로 고통스럽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생활습관을 바꿔도 야간뇨가 계속된다면 그때는 만성신부전과 전립선비대증과 같은 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야간뇨를 줄이는 생활습관이 여러가지가 있다. 우선 하루 마시는 물의 양은 1리터 정도로 줄이고, 물을 마시는 시간도 바꾼다. 박 교수는 "아침식사 후 점심 전까지 500㎖의 물을 챙겨먹고, 점심때부터 저녁식사 전까지 500㎖의 물을 마시라"고 말했다.

저녁식사 이후에는 약 먹을 때 한 모금의 물을 마시는 걸 제외하곤 가급적 수분섭취는 제한하는 것이 좋다. 박주현 교수는 "특히 마지막으로 물을 마신 후 2~3시간은 수분섭취를 제한하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저녁식사 땐 젓가락만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박 교수는 "국물은 염분이 높아 단순히 물을 마신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소변이 만들어지게 되고, 야간뇨로 이어진다"며 "국이나 찌개를 먹고 싶다면 젓가락을 이용해 건더기만 먹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식후 과일에도 많은 당분과 수분이 있으니 저녁이 아닌 낮에 먹는 것이 추천된다. 또 저녁식사 이후에는 수분섭취를 하지 말고, 잠들기 전 마지막으로 화장실을 다녀오는 것이 밤에 만들어지는 소변의 양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 같은 것도 보지 않는다. 박주현 교수는 "수면 중 뇌가 활성화돼 있으면 우리 몸은 낮처럼 소변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특히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보면 뇌가 활성화돼 깊은 잠에 빠지기가 어렵다"고 전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면공간의 습도조절도 중요하다. 박 교수는 "입이 건조하고 목이 말라 잠에서 깨 물을 찾는 경우가 있다"며 "가습기로 습도 조절을 하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같이 생활습관을 바꿨는데도 야간뇨가 여전하다면 만성신부전이나 전립선비대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박주현 교수는 "야간뇨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전립선비대증이나 과민성 방광같은 비뇨의학적 문제도 있을 수 있고, 당뇨병이 있거나 노화나 신장질환에 따른 항이뇨호르몬의 감소가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특히 소변량이 갑자기 늘었거나 소변에 거품이 많이 생긴 야간뇨라면 만성신부전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만성신부전은 노폐물을 제거하는 신장(콩팥) 기능이 떨어져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단계의 질환을 의미한다.

박 교수는 "정상 신장기능의 경우엔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돼 밤에 소변양이 적어지지만, 만성신부전 환자는 항이뇨호르몬이 신장에 작용하지 못해 밤에 소변양을 줄이지 못하고 요의를 느껴 잠에서 깨는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장이 제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인 만성신부전은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 떨어져서 결국 투석이나 신장이식 같은 치료가 필요할만큼 악화될 수 있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만성신부전은 생각보다 성인에게 흔하다. 2022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 자료에 따르면, 만성신부전은 성인의 10% 정도였다. 특히 만성신부전은 당뇨병을 앓는 사람에게 흔하기 때문에, 야간뇨가 있는 당뇨병 환자라면 만성신부전을 의심해봐야 한다.  

박주현 교수는 "당뇨병 환자의 20~40%가 20년 내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당뇨병성신장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도 관련성이 높다. 만성신부전 환자의 90%가 고혈압을 동반할만큼 고혈압과 신장 기능의 연관성이 짙다"고 지적했다.

이어 "만성신부전이 있는 경우 빈혈이나 신체가 자주 붓는 부종이 흔하게 관찰되므로 당뇨병, 고혈압, 빈혈, 부종 있으면서 야간뇨 증상이 함께 관찰된다면 특히 신장 기능 검사를 필수적으로 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성신부전 이외에 야간뇨의 또 다른 원인은 방광 아래 위치한 전립선의 비대일 수 있다. 박 교수는 "노화 등의 이유로 인해 전립선이 비대해지는 전립선비대증도 배뇨를 어렵게 하고 야간뇨 증상을 야기하는 주요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박주현 교수는 "전립선비대증의 경우 약물치료를 해볼 수 있고, 결석이 생기는 경우나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고 반복적 감염이 생긴다면 요도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적출술로 치료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