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활동 늘어나는 봄철 사마귀 주의보…전염‧재발률도 높아
전신 어디에나 생길 수 있어…티눈‧여드름 오인해 방치하면 번져

# 등산이 취미인 박모(45) 씨는 주말이면 근교로 산을 찾았다. 그러다 최근 발바닥에 오돌토돌하며 하얀색 각질이 있는 딱딱한 여러 개가 생긴 것을 알았다. 박 씨는 등산하다가 티눈이 생긴 것으로 여겨 손으로 긁는 등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며칠 후 두세 개 더 생기더니 손바닥까지 번지며 개수가 늘어난 것을 보고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티눈이 아닌 사마귀로 진단받았다.

사마귀는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이다. 사마귀는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가 피부 표면에 감염되면서 생긴다. 주로 손과 발에 발생하고, 드물지만 두피나 얼굴몸통 부위 등 전신 피부 어디에나 생길 수 있다.

사마귀는 대부분 1~4㎜ 크기 구진들이 표면이 거칠고 튀어나온 모양으로 발생한다. 위치에 따라 표면이 매끈하거나 두께가 납작할 수 있다. 색이 거뭇거뭇한 경우도 있다. 사마귀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또 옷이나 수건‧신발 등 간접 전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사마귀 증상이 나타났다면 가족 구성원에게 알려 직접 접촉을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면역상태가 건강한 성인은 사마귀와 직접 접촉이 의도치 않게 일어났어도 반드시 전염되는 것은 아니어서 과도하게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소아나 청소년은 더 주의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피부에 감염된 이후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자라려면 수개월 이상 필요하다. 감염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육안으로 보면 사마귀는 티눈이나 굳은살과 흡사해 초기에 스스로 긁거나 뜯는 등 제거하려고 하다가 악화해 번지는 경우가 많다. 다른 부위로 옮겨지기 전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마귀는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젖어 있는 상태로 오래 있으면 감염 위험이 커진다. 아토피 피부염 같은 피부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아 피부 장벽이 손상돼 있거나, 피부 또는 전신면역이 떨어져 있어도 전염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마귀는 냉동약물치료와 전기소작법, 레이저치료, 면역요법으로 치료한다. 시술 후 통증수포, 착색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만큼 꾸준히 치료받으면서 건강한 면역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써야 한다.

완치율은 60~70%. 환자 면역력에 따라 20% 정도는 재발하기도 한다. 완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완치 판정을 받을 때까지 피부과 전문의에게 꾸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려대안암병원 피부과 김대현 교수는 봄철 일교차가 커지고 땀을 흘릴 일이 많아지고,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시간이 늘어나 손발에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기기도 한다. 이때 사마귀가 더 잘 생기고 옮을 수 있다사마귀가 생긴다면 손으로 만지거나 뜯지 말고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타인에게 옮길 수 있어 사마귀 병변이 다른 사람 피부와 접촉하는 것뿐 아니라 스스로 만지는 것에도 주의하고 평소 스트레스나 면역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