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타임 ‘4.5시간’내 알아채야 영구장애 후유증이나 사망위험 줄여

뇌졸중은 암이나 심장질환과 함께 중년 이후 어느날 갑자기 찾아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뇌졸중은 크게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구분한다.

이 가운데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히면서 수 시간 내에 뇌세포 괴사가 시작한다. 뇌경색 치료의 핵심 부위인 허혈성 반음영 부위혈류 재개통을 놓치면 영구 장애나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

혈전 몸에서 이동하다가 뇌혈관 막아 발생

허혈성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고령으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증이다. 또 부정맥과 심부전심근경색 후유증으로 심장에서 발생한 혈전이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발생하기도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2022년 뇌경색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모두 519,533명이었다. 이는 80대 이상에서 5년 전 2018년 대비 남자는 32%, 여자는 19.3% 급증한 수준이다.

평소 자신과 주변 사람의 신체 변화 주의 깊게 살펴야

뇌경색 급성기에 혈전 또는 색전으로 혈관이 막히면, 초기에 아직 괴사하기 전인, 허혈성 반음영이 나타나낟. 허혈성 반음영 부위는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중심부터, 세포 괴사를 동반한 뇌경색으로 바뀌게 된다. 초기 허혈성 반음영 치료가 중요한 이유이다.

뇌경색은 증상 발생 후 4.5시간 내 정맥혈전용해제를 투여해 혈류를 재개통시키면 뇌세포 기능 회복과 뇌경색 치료가 가능하다. 큰 동맥이 막힌 경우 24시간 내 동맥내혈전제거술을 하면 아직 괴사되지 않은 허혈성반음영을 치료할 수 있다.

중심 뇌경색 병변을 최소화하고, 주변 허혈성반음영 부위를 최대한 살리는 것이 급성기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다만, 이 치료들은 출혈 가능성을 고려한 여러 금기사항도 존재하는 만큼 치료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해당 의료진들의 면밀한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

증상 정도나 막힌 혈관 부위에 따라 혈관에 있는 혈전을 녹이거나 끄집어내는 치료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는 줄어들고 뇌출혈 등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는 만큼 최대한 빨리 병원에 도착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이일형 교수는 시간이 지나 뇌 손상이 이미 진행됐다면, 현대 의학이 아무리 뛰어나도 그 의미는 퇴색한다. 몇 시간 차이가 남은 삶의 차이를 만들 수도 있다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신체 변화에 대해 항상 자각하고 깨어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일상생활 중 관찰할 수 있는 뇌경색 전조 증상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다

말을 못 하거나, 발음이 어눌해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한다

갑자기 심한 어지럼증을 느낀다

걸을 때 술에 취한 사람처럼 휘청거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한쪽 시야가 잘 안 보이거나 둘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