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성혈소판감소증 비장절제 선행 조건 삭제…급여 대상 확대
지난 1일부터 면역성혈소판감소증 치료제 레볼레이드(성분명 엘트롬보팍 올라민)가 비장절제술 없이 급여 처방이 가능해짐에 따라 환자들의 치료혜택이 확대됐다.
한국노바티스는 3일 레볼레이드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범위가 지난 1일부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 글로불린에 불응인 비장절제 환자/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글로불린에 불응인 비장절제술이 의학적 금기인 환자’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면역 글로불린에 불응인 환자’로 개정됐다고 밝혔다.
레볼레이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글로불린 또는 비장절제술에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만성 면역성(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서의 저혈소판증 치료제다. 대표적인 TPO-RA(TPO-Receptor Agonist, 혈소판 작용체 수용제) 치료제로, TPO 수용체를 자극해 혈소판 생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통해 혈소판 생성 기능을 촉진함으로써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레볼레이드는 EXTEND 3상 임상연구를 통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장기 치료 효과와 환자 삶의 질 개선 혜택을 확인했다.
추적기간 최대 8.8년(중앙값 2.4년)의 장기간 연구 결과, 임상 연구 2주차에 혈소판 수 중앙값이 50x109/L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85.8%의 환자가 구제 치료(Rescue Therapy)없이 최소 1회 이상 혈소판 수 50x109L 이상을 달성했다.
또한 52%의 환자에서 이러한 반응이 최소 25주 이상 지속되는 등 빠른 혈소판 반응과 효과의 장기 유지 결과를 확인했으며, 출혈 위험을 베이스라인 대비 절반 이상 감소시키는 등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했다.
치료 3개월 이내에 환자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호소하는 피로감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5년 이상 지속되며 전반적인 환자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비장절제술은 혈소판이 파괴되는 장기인 비장을 제거함으로써 혈소판 수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지만, 비장절제술 이후 전신 마취 관련 사망률 및 감염, 정맥혈전색전증과 같은 장기 합병증과 같은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이에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들은 레볼레이드를 급여 처방받기 위해서는 비장절제술이 선행돼야 했다.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비장절제 선행조건 없이도 급여 처방이 가능해져 환자들의 치료부담 감소와 더불어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권고사항인 TPO-RA치료제 우선 사용이 실제 진료현장에서 적용 가능해졌다.
국내외 가이드라인은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에서 비장절제술보다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치료제를 우선 권고하고 있다.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와 국제 컨센서스 보고서(International Consensus Report) 등 주요 글로벌 가이드라인에서 비장절제술보다 TPO-RA 치료제를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있으며, 대한혈액학회도 지난해 3월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관리 지침 업데이트(Management of immune thrombocytopenia: 2022 update of Korean experts recommendations)를 통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환자 치료에서 비장절제술보다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 치료제를 권고한 바 있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장준호 교수는 “면역성혈소판감소증 치료에 있어 레볼레이드와 같은 TPO-RA 치료제가 비장절제술에 앞서 권고되고 있었지만 급여 처방을 위해 환자들은 여러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비장절제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제한점이 존재했다”며, “이번 급여 확대로 인해 국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이 업데이트된 진료지침에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앞으로 더 많은 환자들이 레볼레이드의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국노바티스 혈액암사업부 이지윤 상무는 “이번 보험급여 확대를 통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이 미충족 수요가 해결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국내 면역성혈소판감소증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기회를 제공하며 온전히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라식‧라섹 등 시력교정술 받고 2~4주 수영장‧해수욕장 멀리해야
- 어린이집‧유치원 0~6세 영유아에게 수족구병 늘고 있어 주의보
- “헴리브라 장기 예방요법, 혈우병의 출혈 감소·관절 건강 개선에 효과”
- 국민 86%, 병원 사직 전공의와 교수에 "환자 곁으로 돌아와야"
- 일반식품에 질병 예방·치료 효능?…식약처, 불법·부당광고 232건 적발
- 정부, 집단사직 전공의 대상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 철회 검토
- 政 필수의료 패키지 당위성 설명에도 흉부외과 의사들 '냉담'
- [야외활동 중 응급상황대처법] 물집 화상, 30분 이상 흐르는 물에 식혀야
- 국내 혈액암 치료 접근성 개선…2세대 BTK억제제 '브루킨사' 급여 확대
- [ASCO 2024] 폐암 표적치료제 '타그리소', 전주기 치료제로 등극
- 결막염으로 치료 받았는데 컨디션 안 좋을 때마다 재발한다면…“이것”
- 몸서리쳐지게 아픈 ‘통풍’…40대 이하 젊은 환자 27% 늘어 ‘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