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게 비타민D 결핍이 있으면 근위축, 지방변성, 염증 관련 인자들에 영향을 미쳐 파열된 근육의 염증반응을 더욱 가속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건국대병원은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이 회전근개 파열이 있으면서 비타민D 결핍증(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20ng/dL 미만)있는 환자군(12명)과 나이·성별·회전근개 파열 정도가 유사하면서 비타민D가 충분(30ng/dL 이상)한 환자군(12명)을 대상으로 회전근 개 근육과 힘줄, 삼각근육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비타민D 결핍은 전체 인구의 14%에 달할 정도로 흔하며 근위축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타민D 결핍은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는 증상이라는 점에서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이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근육 내 유전자 발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비타민D 결핍이 삼각근육의 근위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전근개에 대해서는 근위축보다 염증발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석원 교수는 “이번 결과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비타민D 결핍 상태가 파열된 근육의 염증반응을 더욱 가속화시켜 통증 및 기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며 “비타민D 결핍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경우, 비타민D를 보충하는 것으로도 어깨 증상 개선 및 기능 회복에 도움이 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건망증과 치매의 중간 어디에 있는 ‘경도인지장애’
- 9월부터 투여 횟수 1/7 감소한 성장호르몬 ‘엔젤라’ 건보 적용
- "한국 여성 상당수 여전히 실패율 높은 피임법 사용해"
- 좌심실 수축기능 저하 만성 심부전 환자 부담↓…바이엘 '베르쿠보' 급여
- 개원가에서 병원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필수의료 위기
- 정부, 의약품 수급불안정 부르는 ‘매점매석’ 강력 제재 나선다
- 국내 입원 환자, 암 환자 보다 손상 환자가 더 많아졌다
- 신장암 잘 걸리는 사람 특징 있다…혈압 조절 안 돼도 위험
- 갑자기 버럭대거나 융통성 사라진 부모님…알츠하이머병 탓이었다
- 치매 원인 '타우 단백질' 섬유화 과정·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 입증
- 세종충남대병원, 김상범 진료처장 등 주요 보직자 인선
- 지난 한 해 ‘술‧담배’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지출액 5조원 넘어서
- 무릎관절질환 명의 이명철 교수, 이달부터 SNU서울병원서 진료
- 극도의 불안 속 숨 막히는 공포 '공황장애'…"죽지 않는 병이란 인식 중요"
- 혈액암치료제 '임브루비카', 이달부터 CLL·SLL 1차 치료제로 급여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