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

건국대병원 정석원 교수팀이 회전근개 환자에서 비타민D 결핍이 근위축, 지방변성, 염증 관련 인자들에 영향을 미쳐 파열된 근육의 염증 반응을 더욱 가속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진 제공=건국대병원
건국대병원 정석원 교수팀이 회전근개 환자에서 비타민D 결핍이 근위축, 지방변성, 염증 관련 인자들에 영향을 미쳐 파열된 근육의 염증 반응을 더욱 가속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진 제공=건국대병원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게 비타민D 결핍이 있으면 근위축, 지방변성, 염증 관련 인자들에 영향을 미쳐 파열된 근육의 염증반응을 더욱 가속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건국대병원은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이 회전근개 파열이 있으면서 비타민D 결핍증(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20ng/dL 미만)있는 환자군(12명)과 나이·성별·회전근개 파열 정도가 유사하면서 비타민D가 충분(30ng/dL 이상)한 환자군(12명)을 대상으로 회전근 개 근육과 힘줄, 삼각근육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비타민D 결핍은 전체 인구의 14%에 달할 정도로 흔하며 근위축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타민D 결핍은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도 흔하게 발견되는 증상이라는 점에서 연구팀은 비타민D 결핍이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근육 내 유전자 발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비타민D 결핍이 삼각근육의 근위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전근개에 대해서는 근위축보다 염증발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석원 교수는 “이번 결과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비타민D 결핍 상태가 파열된 근육의 염증반응을 더욱 가속화시켜 통증 및 기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며 “비타민D 결핍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경우, 비타민D를 보충하는 것으로도 어깨 증상 개선 및 기능 회복에 도움이 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