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신상현 교수 연구팀, 췌장암 수술 환자 분석
80세 이상 고령 췌장암 환자 중 수술 시행 환자 비율 낮아
고령 췌장암 수술 환자도 '합병증'과 '생존율'에 차이 없어
“체력 뒷받침하는 한 ‘췌장암 환자 선택 존중’해 수술 가능”
난치암 '췌장암'에 대한 수술 여부를 단지 나이로 결정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확인돼 관심이 집중된다.
삼성서울병원은 간담췌외과 신상현 교수·정혜정 임상강사 연구팀이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0년간 췌장 두부에 생긴 암으로 췌십이지장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666명을 분석해 체력 조건이 뒷받침된다면 나이 때문에 수술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췌장암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암이다. 그 중에서도 췌장의 두부에 생기는 암을 치료하는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췌장과 더불어 십이지장, 담도, 담낭 등을 복합적으로 절제하고, 연결 과정도 복잡해 외과 수술영역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큰 수술에 해당한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율이 최대 40%에 이르고, 수술 중 췌장에서 누출(누공)이 생기거나 혈관이 파열될 경우 생명을 앗아갈 정도로 위험해 의료진의 부담도 매우 크다. 해외 연구에서는 수술을 받은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2.6개월이었던 반면, 비수술 환자는 3.5개월로 4배 가량 차이가 보고될 만큼 수술 혜택이 분명하다.
하지만 나이를 이유로 수술을 포기하는 환자가 많고 의료진 역시 수술을 쉽사리 권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러한 경향은 이번 연구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2019년 국내 암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을 새로 진단받은 환자 8,099명 중 21.3%인 1,727명이 80세 이상으로 집계될 만큼 적지 않지만 수술을 택한 환자는 일부에 불과했다.
연구팀이 분석한 췌장암 수술 환자 666명 중 80대 이상인 환자는 고작 3.6%(24명)에 그쳤다. 국가 통계에서 80대 환자의 비율(21.3%)을 고려하면 턱없이 낮은 수치다. 전체 췌장암 환자의 20~30% 정도가 수술을 받는다고 알려진 것과 견줘도 수술을 결심한 80대가 매우 적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고령에도 수술을 받고 회복하는 환자들을 볼 때마다 나이가 곧 수술의 절대 기준이 될 수 없다는 판단이 들었다”며 “수술을 포기해야 할 만큼 나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연구 기간 내 췌장암 수술을 받은 환자 666명을 80세 미만인 환자(642명)과 80세 이상 환자(24명)로 나누고, 전반적인 건강상태(ASA score)와 심뇌혈관, 심폐질환 등 수술 관련 조건을 토대로 두 집단을 균질하게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예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사람들의 일반적 인식과 달리 나이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80대 미만 그룹의 평균 재원 일수는 12.6일로80대 이상 그룹 13.7일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합병증 발병율 또한 나이와 관계 없이 엇비슷했다.
전체 생존율 역시 80대 미만 18개월, 80세 이상 16개월로 대동 소이했고, 무진행 생존도 11개월 대 8개월로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80대 이상 환자 6명의 경우 수술 후 24개월 이상 장기 생존한 사례도 있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신상현 교수는 “췌장암에서도 건강상의 다른 요인 없이 단순히 나이만 갖고 수술이 어렵다고 말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아직은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기대 여명을 늘릴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환자에게 선택할 권리를 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 빅5병원 지방 환자 10년 새 40% 넘어…최다빈도 진료 질환 '암'
- 세월의 흔적으로 노년에 만나는 ‘척추협착증’…‘내시경적 척추수술’ 주목
- 임산부 ‘잇몸병’ 방치하면 조산‧저체중아 출산 위험 커져
- 느닷없이 핑크‧콜라색깔 소변을 본다면…‘혈뇨’, 방광암 적신호
- [송교영의 위암 올댓가이드] 4기 위암도 수술 가능?…변화하는 말기 위암 치료 환경
- 치료에 2~5년 소요되는 '소아암' 건강관리 올댓가이드
- "뇌성마비로 알았는데"…치료 가능한 '희귀이상운동질환'일수도
- 국내 의료진, 퇴행성척추질환 수술 '침하 합병증' 낮추는 치료법 제시
- 건국대병원, 환자경험 메타버스 페스티벌 성료
- 박스터 코리아, 종합영양수액제 '올리멜' 이달 1일부터 급여 출시
- 아토피피부염와 헷갈리는 혈액암 '피부림프종' 바이오마커 발견
- 진단기업 엔젠바이오,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 참여
- 책상에 엎드려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이 저릿…‘팔꿈치터널증후군’
- 눈앞에 거미줄·날파리 둥둥 날아다니는 비문증…방치하면 실명 위험
- 한국MSD,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응원 캠페인’ 진행
- 노인 대표 실명질환 '황반변성', 골절 위험도 높인다
- 세종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사업 전담인력 워크숍 성료
- 건국대병원, 반월연골판이식술 연간 80건 돌파…전국 최고 수준
- 2027년 전 세계 간담췌학 분야 전문가 부산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