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자 간이식만 기다리는 경우보다 생존율 높아
중증 말기 간질환 환자도 생체 간이식을 받으면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이식외과 김덕기·이재근·주동진 교수, 임승혁 강사 연구팀은 멜드(MELD) 점수가 높아 뇌사자 간이식을 주로 받던 중증 말기 간질환 환자가 생체 간이식을 받으면 뇌사자 간이식을 위해서만 대기하는 경우보다 생존율이 3배 가까이 높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간이식을 대기하는 환자 중 멜드 점수가 30점 이상인 중증 말기 간질환 환자 649명을 대상으로 1년 생존율과 거부반응 발생률을 추적 조사했다. 멜드(MELD) 점수는 간질환의 심각도를 측정해 환자의 위급도에 따라 뇌사자 간이식 순서를 부여하는 기준이다.
조사 대상자 649명 중 생체 간이식을 받기 위해 준비한 A군은 205명, 뇌사자 간이식만 대기한 B군은 444명이었다.
조사 결과, 실제 간이식을 받은 환자 수는 A군이 187명(91.2%)으로 간이식 시행 기회가 B군(177명, 39.9%)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이에 더해, 뇌사자 간이식만 기다렸던 B군의 1년 생존율은 28.8%로 매우 낮은 반면, 생체 간이식을 받은 환자에서는 77.3%로 A군이 약 3배 가까이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연구팀은 두 군의 수술 결과도 비교 분석을 통해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 생체 간이식 예후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생체 간이식을 받은 환자의 합병증, 거부반응 발생률 등이 뇌사자 간이식과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생체 간이식 공여자들도 큰 합병증 없이 회복했다.
연구팀은 간이식이 필요한 중증 말기 간질환 환자가 생체 간이식을 받을 경우, 뇌사자 간이식 대기 순서만 기다리는 것보다 간이식의 기회가 커질 수 있으며 생존율도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김덕기 교수는 “멜드 점수가 30점 이상인 중증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 생체 간이식의 안전성을 밝혀냈다”며 “말기 간질환 환자도 생체 간이식을 받을 수 있는 근거를 확인한 만큼 간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이식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간이식은 간이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만큼 상태가 악화한 중증 말기 간질환의 유일한 치료법이다. 생존해 있는 공여자에서 간을 기증받는 생체 간이식과 뇌사자 간이식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서는 뇌사 기증자가 부족해 간이식의 70% 이상은 생체 간이식으로 진행한다. 이전에는 멜드 점수가 30점 이상으로 높은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는 생체 간이식이 적극적으로 권장되지 않았다. 좋은 이식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외과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IF 15.3) 최신 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 거대 신경섬유종 마다가스카르 여성에 새 삶 선물한 고대의료원
- 2월부터 럭스터나·커렌디아·오비주르 등 중증치료제 건보 적용
- 1형 당뇨, 소아 보다 성인 환자 많은데…정부 지원은 내달부터 소아만?
- 신생아 7천~8천 명 중 1명 발병 소이증, 귀 재건 수술 통해 완치
- 염증성 장질환이 척추골절 위험 높인다
- 겨울 찬바람 불어 손‧발 찌릿, 감각 둔해지면…‘말초신경염’ 의심
- 소량의 혈액으로 난소암 재발 진단 가능…액체 생검법 개발
- 암 환자에서 증가하는 뇌졸중…혈소판, 트롬빈 등 응고인자 탓
- 권역별 희귀질환 전문기관 17개소 지정…희귀질환자 접근성 제고
- [나의 투병 스토리] 희귀질환, 모두 내 잘못이었다
- 뇌하수체종양은 희귀난치성질환?…"외과적 치료로 관리 가능한 질환"
- 고혈압치료제로 최근 의사들이 '복합제' 처방 많이 하는 이유
- 반지형 혈압측정기 '카트 비피', 모든 혈압측정법에서 유효성 입증
- 감기처럼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간염'… 간염 종류 별 치료‧예방법 달라
- 중증환자 적시진료 위해…삼성서울·인하·울산대병원, 중증진료 강화
- 깜깜이 '약제 급여심사 과정', 투명해진다…급여 개선 건의시스템 개편
- 5년 생존율 60% 불과한 ‘두경부암’ 예방하려면?
- 건선, 아직도 민간요법?…주사약 휴미라 버금가는 '먹는 건선신약' 등판
- 노원·대전·의정부 병원 통합 '을지 류마티스연구소' 개소
- 대학병원 응급실 의사의 한숨…"경증 환자 쏠림으로 번아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