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2년 총 2,918명의 환자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
서영석 의원 "기증자 늘릴 수 있는 대책 위해 노력할 것"
지난해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 환자가 총 2,918명으로, 3시간에 1명꼴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장기이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는 총 2,918명으로 2018년 대비 54.1%가 증가했다.
장기별로 분석해보면 신장 대기 중 사망자 수가 1,50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장이 1,071명, 심장 129명, 폐 125명, 췌장 81명, 소장 4명, 췌도 2명 순으로 많았다. 특히 신장의 경우 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가 2018년 대비 약 97.4%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아울러 2022년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최근 5년 중에 가장 많은 4만1,706명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대비 36.5%가 증가한 기록으로, 처음으로 4만명대를 넘었다. 장기별로 보면 신장 이식 대기자 수가 가장 많았으며, 간장, 췌장, 심장, 폐, 췌도, 소장이 뒤를 이었다.
반면, 지난해 뇌사 기증자 수는 최근 5년 중 가장 적은 405명을 기록했다. 405명의 뇌사 기증자로부터 이식된 장기 수는 총 1,354건으로 신장이 가장 많았으며, 간장, 심장, 폐, 췌장, 소장 순서로 많았다.
서영석 의원은 “지난해 장기이식 대기자 수가 4만명 대를 기록하며 최근 5년간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이에 대비해 뇌사 기증자 수는 1%가 채 되지 않는다”며 “장기 기증자 수를 단 10명이라도 늘릴 수 있도록 순환정지 후 장기기증 제도 등 해외에서 활성화된 장기기증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설명했다.
이어 서 의원은 “다가오는 9월 9일은 장기기증의 날로, 그 의미는 장기기증으로 최대 9명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뜻이다”며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가치가 경시되는 오늘날 장기기증 제도가 활성화되어 모든 생명이 존중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잠 자다가 눈알 빠질 정도로 아픈 극강의 두통…‘군발성 두통’
- 두 얼굴을 가진 ‘양극성장애’…조증 심할 땐 빠른 입원치료 필요
- '넥스트 팬데믹'에서 백신 수용도 높이려면? "핵심은 소통"
- "2cm 이하 위점막하종양도 추척관찰보다 내시경절제술 필요"
- 아직도 '뚱뚱한 개인' 탓…꼼짝달싹 못 하는 비만 정책
- "이런 검진 하지마”…무분별한 ‘건강검진’ 꼬집은 의학한림원
- '코셀루고'·'럭스터나', 급여 8부 능선 넘어…'타그리소'도 약평위 통과
- [박민선의 Cancer Genetic Counesling] “제일 큰 검사로 해주세요!”
- 농포성 건선의 짙은 그림자…희귀질환 맞는데 희귀질환 인정조차 안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