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차병원 조주영 교수팀
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팀이 2cm 이하의 위점막하종양에도 추척관찰 보다는 내시경절제술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위점막하종양은 정상 점막으로 덮여 있는 위장벽심부에 위치한 종양으로, 대부분의 위점막하종양은 무증상이며 우연히 발견된다.
위점막하종양의 유병률은 0.3~0.8%이며, 내시경 검사가 증가하면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보통 가이드라인으로는 2cm 이상 위점막하종양은 수술이나 내시경 절제가 필요하며, 2cm 이하의 위점막하종양은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시행하도록 권고한다.
그러나 추적관찰 전략은 악성 진단 지연, 내시경 반복으로 인한 합병증, 환자의 순응도 불량으로 인한 추적관찰 상실 등의 위험이 있다.
강남차병원 조주영 교수팀은 2015년부터 2021년 5월까지 2cm 이하의 위점막하종양에 대해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110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평균 위점막하종양의 크기는 11.82±0.46 mm였으며, 위점막하종양 환자 110명 중 59명은 평활근종, 26명은 악성 위장관 기질종양, 16명은 이소성 췌장, 6명은 지방종, 3명은 신경내분비 종양으로 나타났다.
전체 위점막하종양에서 악성 위장관 기질종양(GIST)은 약 24%로 4개 중 1개 꼴이다.
2cm 이하 위점막하종양 환자에서 내시경 절제술을 통해 위장관 기질종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내시경 절제술은 성공적이었고, 시술에 따른 부작용이 없었다. 크기가 2cm 이하여도 위장관 기질종양은 내시경 절제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주영 교수는 “이번 연구로 크기에 상관없이 위점막하종양에 대한 내시경치료를 통해 진단과 치료가 가능함을 증명했다”며 “위점막하종양 치료가이드라인 범위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urgical Endoscopy’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 '넥스트 팬데믹'에서 백신 수용도 높이려면? "핵심은 소통"
- 아직도 '뚱뚱한 개인' 탓…꼼짝달싹 못 하는 비만 정책
- "이런 검진 하지마”…무분별한 ‘건강검진’ 꼬집은 의학한림원
- '코셀루고'·'럭스터나', 급여 8부 능선 넘어…'타그리소'도 약평위 통과
- [박민선의 Cancer Genetic Counesling] “제일 큰 검사로 해주세요!”
- 농포성 건선의 짙은 그림자…희귀질환 맞는데 희귀질환 인정조차 안돼
- 두 얼굴을 가진 ‘양극성장애’…조증 심할 땐 빠른 입원치료 필요
- 고려대 연구진, 유전자 정보 제어로 간암 발생 억제에 성공
- 장기이식 대기 중 사망, 3시간에 1명꼴…신장〉간〉심장〉폐 순
- 검진의학회, 국민 건강상태 못 따라잡는 국가건강검진 개선돼야
- 잠복고환, 15~35세 호발 '고환암' 발생 확률 50배↑…영유아검진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