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알 수 없이 생긴 만성염증…궤양성대장염 또는 크론병 대표

염증성장질환은 장관 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복통과 함께 설사혈변,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계속 나타나 환자들은 상당한 불편을 호소한다.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 염증성장질환으로 손에 꼽힌다.

20~30대에 많이 나타나는 궤양성대장염은 직장과 결장으로 이어지는 대장 점막에 넓게 퍼진 염증이 특징이다. 점액이 섞인 혈변과 잦은 설사가 주된 증상이다. 심하면 발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10~20대 환자에서 많이 나타나는 크론병은 입부터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깊은 궤양을 동반한 염증이 산발적으로 생긴다. 주로 복통과 체중 감소 증상을 보인다. 전신 쇠약감과 식욕부진, 구토 같은 전신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염증성장질환을 일으키는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유전‧환경은 물론 면역체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서구식 식습관과 지나치게 깨끗해진 위생환경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크론병은 흡연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염증성장질환 진단은 한 가지 검사로 쉽지 않다. 증상을 비롯한 병력 청취와 혈액검사, 복부 엑스선, CT내시경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염증성장질환은 증상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질환이다. 완치보다 증상 조절과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을 치료 목적으로 한다. 치료는 항염증제와 면역조절제, 스테로이드제제, 생물학적제제 등을 통한 약물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이전에는 치료약제가 많지 않았다. 이에 비해 최근 새로운 생물학적제제와 소분자물질 약물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어 다양한 약물을 환자에 맞춰 적용하고 있다. 장 협착과 천공농양 등 합병증이 생기면 수술치료도 고려한다.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어 약을 처방대로 투여하고 식이요법운동을 잘 실천하면 수술 한 번 받지 않고 평생 무리 없이 일상생활을 하는 사례들도 많다.

고대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김동우 교수는 염증성장질환은 과민성 장증후군과 감염성 장염, 치질 등으로 오해하기 쉬워 진단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방치하면 지속적인 영양결핍과 복통설사로 인한 삶의 질이 떨어지고, 심하면 장폐색장천공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복통설사혈변 증상이 수개월 이상 지속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