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교수팀, BPD 유병률 과소평가

경계성 인격장애’(BP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정서 불안과 자아정체성 문제, 대인관계를 포함해 여러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다.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고,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BPD 환자는 도벽도박과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고, 대인관계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60~80%는 자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사회적 부담이 높은 질병이다. 이에 비해 국내 경계성 성격장애의 실제 발병률과 임상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석정호 교수 연구팀은 2010~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DB)의 맞춤형 데이터를 활용,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의 유병률과 임상적 특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 조사 결과, 국내 인구 1만 명 당 1명이 경계성 인격장애로 진단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BPD 환자는 남성보다 여성 발병률이 높았고, 20대 발병이 가장 많았다. 국내 유병률은 다른 국가의 BPD 유병률 2.7%~5.9%에 비해 낮았다.

한편 연구팀은 국내 유병률의 과소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BPD 진단 국내 환자는 20103,756명에서 20194,538명으로 1.2배 정도 늘었다. 남성 환자 유병률은 20100.81명에서 20190.80명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여성 환자의 유병률은 20101.12명에서 20191.32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BPD 환자는 20대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연령층이 올라가면 유병률은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유병률이 1만 명 당 8.71명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6.62)과 대구(5.90)가 뒤를 이었다.

이번 연구는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BPD 환자 국내 유병률이 낮은 것은 보험청구자료의 특성을 고려해도,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석정호 교수는 경계성 인격장애가 자살 위험성과 의료적 부담이 큰 질병임을 고려할 때,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과 국가적 차원의 제도 개선, 예산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