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관문인자 HLA-G 표적 CAR-T세포치료제 개발
HK이노엔은 최근 CAR-T세포치료제 연구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으로부터 국가신약개발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CAR-T세포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인 T세포에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인지할 수 있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AR)’를 넣어 암세포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괴할 수 있도록 만든 치료제다.
현재 HK이노엔은 CAR-T세포에 면역관문인자 'HLA-G'의 활동을 억제하는 항체를 접목한 세포치료제(환자의 세포를 치료에 걸맞게 개량한 후 다시 환자에 주입해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HLA-G 양성 고형암 용으로 비임상시험을 진행 중으로,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임상1상시험에 착수하는 것이 목표다.
HLA-G는 우리 몸에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관문인자다. 태반을 제외한 정상 세포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특정 암세포에 과다하게 발현돼 면역체계를 망가뜨린다.
HK이노엔은 종양(암) 세포를 죽이는 동시에 환자의 면역반응을 회복시켜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인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HK이노엔 R&D총괄 송근석 부사장은 "첨단바이오의약품의 대표주자인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가치에 주목하고 자체연구 및 공동연구, 위탁개발 및 생산(CDMO), 위탁생산(CMO)을 진행 중"이라며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된 만큼 국가와 환자에 기여하는 혁신 치료제를 개발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소아환자 응급실 이중 전원 원인 ‘보호자 요청’…체류시간 길어져 문제
- 안경 탈출 시력교정술에 지는 스마일라식과 뜨는 ‘스마일프로’
-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을 잘 먹는 방법
- 일가족 비극의 이유 소아 ‘1형 당뇨병’…최근 4년 26% 늘어
-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만으로 '직장암' 10~15% 완전히 사라진다?!
- "일가족 비극 남일 아냐"…1형당뇨 환자들 정부 지원 촉구
- 자궁경부암검사, 임신 중엔 이상無…출산 뒤엔 '암 전단계'로 나온 이유
- “지역 종합병원 살려야 지역 필수의료 산다”
- '소아과 오픈런', 월요일 가장 심각…“휴일 진료 강화 등 대책 필요”
- 새해 ‘몸짱’ 의욕 앞서다 오히려 근육 녹는 ‘횡문근융해증’ 올수도
- [SCL의 헬스talk] 위·대장내시경 시 '조직 검사' 동의서 꼭 필요할까
- 저녁부터 '컹컹' 기침하던 아이, 자다 숨 '꺽꺽' 댄다?…"이땐 바로 119를"
- 시력 앗아가는 유전성 뇌종양?…신경섬유종증 동반 뇌종양 '시신경교종'
김경원 기자
kkw97@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