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나이프센터 개원 뒤 가파른 성장…지난해 6,000례 돌파
분당서울대병원은 감마나이프센터가 지난해 감마나이프 수술 6천례를 달성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지난 26일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분당서울대병원 및 서울의대, 연세의대, 울산의대 신경외과 주요 의료진들이 참석했으며, 감마나이프수술에 대한 경험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감마나이프수술은 방사선을 뜻하는 감마(gamma)와 칼(knife)을 합쳐 부르는 말로,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진 감마선을 병이 있는 위치에 조사해 종양이나 혈관 기형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수술법을 말한다.
뇌종양, 뇌혈관질환 등을 머리를 열지 않고 치료하는 감마나이프수술은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발생되는 감마선을 돋보기처럼 한 곳에 집중시켜 치료하기 때문에 주변 정상 조직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다.
입원기간도 1~2일로 짧아 고령의 환자나 전신상태가 약한 환자도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치료 직후 일상에 바로 복귀할 수 있으며, 암환자의 경우에도 감마나이프 후 바로 다음날부터 항암치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감마나이프센터는 지난 2009년 감마나이프 도입 이후 2019년 누적 3천례, 2022년 5천례 달성에 이어 1년 만에 누적 6천례를 달성하며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감마나이프 수술의 유형별로는 뇌전이암이 2,983건(49.1%)으로 가장 많았고, 양성종양이 1,909건(31.4%), 뇌혈관질환이 998건(16.4%) 순이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감마나이프센터의 급격한 성장에는 환자 중심의 치료를 최우선으로 하려는 의료진의 노력이 있었다고 평했다. 감마나이프수술 전담간호사가 상주해 긴 대기 없이 치료 과정과 치료 후 관리에 대한 전문적 상담을 제공하며, 뇌종양 치료에 관여하는 여러 진료과 교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환자 한명을 진료하는 다학제 진료시스템을 갖추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이외에 나사를 고정하는 정위틀 방식 외에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핀고정을 하지 않고 마스크를 이용하는 수술 방식을 통해 환자 통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과, 로봇 기술을 활용해 환자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최신 모델을 도입해 0.1㎜ 오차 내에서 정밀한 치료가 가능해진 점도 한 몫한 것으로 전해진다.
분당서울대병원 감마나이프센터장 한정호 교수는 “뇌종양 치료가 복잡한 만큼 관련된 진료과가 많아지는데, 여러 의료진이 한자리에 모여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다학제 외래 시스템은 환자에게는 신뢰를 주고 의료진도 더 좋은 결정을 할 수 있게 돕는다”며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건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다학제 뇌종양 외래를 활발하게 운영해 온 결과이므로 유기적인 협진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여성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지표가 '유방밀도'?…치밀도 높으면 위험도↓
- 유방암·위암 혁신신약 '엔허투'…의료진 극찬 쏟아진 '엔허투' 쓸 길 있다!
- 초기 증상 없어 발견하면 이미 말기인 ‘간암’…수술을 다 못받는 이유
- 엔허투 급여 촉구 나선 6451명 환자·보호자들…심평원에 서명서 전달
- '키 크는 주사' 5년간 처방 건수 3.5배 상승…이상사례 보고는 5배 증가
- 9세 여자아이에게도 어느날 나타날 수 있는 ‘난소기형종’
- 해외원정치료 유도하는 '국내 루타테라 치료 횟수 제한' 규제 철폐를
- [칼럼] 정기적 자궁경부암 검진이 중요한 이유
- "질병예방으로 의료비 증가 멈춰야…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아"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 성적 나쁘다?…1차 치료로 60% 완치
- 청력 앗아가는 유전성 뇌종양?…신경섬유종증 동반 뇌종양 '청신경초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