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힘들고 허리통증으로도 이어져…평소 발건강 관리에 주의해야

우리나라 국민이 작년에 가장 많이 참여했던 운동은 걷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2년 국민생활체육조사결과를 보면, 1년간 한 번이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체육활동으로 10명 가운데 5(48.8%) 정도가 걷기를 손에 꼽았다.

야외활동하기 좋은 최근 날씨에는 운동 목적이 아니어도 가벼운 산책과 꽃구경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한편 무지외반증족저근막염등 족부질환을 가지고 있으면 걷기 힘들고 고통을 호소한다.

무지외반증과 족저근막염은 대부분 중장년층 여성이 많이 걸린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무지외반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전체 환자 54,746명 가운데 40~60대 여성이 3194명으로 55%를 차지했다. 족저근막염은 전체 환자 265,346명 가운데 약 30%(79,478)40~60대 여성이었다.

휘어진 엄지발가락 무지외반증방치하면 허리통증 유발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관절이 바깥쪽으로 심하게 돌출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져 변형된 상태다. 유전적으로 평발이나 볼이 넓적한 발에 생기기 쉽다. 하이힐 등 볼이 좁고 굽 높은 신발을 자주 신어도 발병 위험이 커진다.

대부분 증상은 돌출부위 통증이다. 돌출부위가 계속 신발에 자극을 받으면서 염증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한다. 걸을 때 엄지발가락에 통증이 생겨 자연스럽게 둘째셋째 발가락에 힘을 싣게 된다. 이때 둘째셋째 발가락 발바닥 부분에 굳은살이 생기고 통증이 나타난다.

심하면 둘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과 겹치거나 관절 탈구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조기에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발가락 뿐 아니라 발 부위나 허리 통증까지 이어진다.

무지외반증은 발가락 변형이 심해도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 불편함 정도가 중요한 만큼 증상에 따라 치료가 다르다. 통증과 불편함이 심하지 않다면 변형을 악화시키는 신발을 신지 않고, 볼이 넓고 부드러운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엄지발가락 돌출부위나 나머지 발가락 아래가 자극되지 않게 신발 안에 교정 깔창을 넣는 것도 좋다. 이에 비해 변형 정도가 심해 환자의 불편함과 통증이 크면 수술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수술을 통해 돌출 부위 뼈를 깎고, 치우친 뼈 각도를 교정한다. 주변 근육과 인대 등 조직을 늘려주기도 한다.

족저근막염, 찌릿찌릿한 발바닥 통증에 일상생활 불편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올릴 때 도움을 주는 등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평소 운동을 잘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운동을 하거나 장거리 달리기 등 발을 과하게 사용하고, 딱딱한 바닥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주는 운동을 자주 하면 족저근막이 반복적으로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 염증이 생긴다.

또 장시간 오래 서 있거나 쿠션 없는 구두와 하이힐을 즐겨 신다 보면 족저근막에 비정상적 부하가 계속 가해져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보통 걷거나 발을 사용할 때, 휴식 후 움직이기 시작할 때, 발바닥을 쭉 폈을 때 심한 통증이 생겼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줄어들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면 그냥 서 있어도 통증이 생기고, 양쪽 발 모양이 달라지기도 한다.

족저근막염 재발 방지를 위해선 무리한 운동과 잘못된 운동방법, 불편한 신발 등 원인을 찾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 또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늘려주는 스트레칭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정형외과 김재영 전문의는 발은 우리 몸 상하체 하중을 견디면서 일상 생활에 필수적인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평소 발 피로나 통증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무지외반증과 족저근막염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좋아지지만 증상이 심하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