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기 이후 재채기하다가도 압박골절…허리펴기‧걷기 중요
# 최근 조모(79‧여) 씨는 집안 의자에서 일어나다 균형을 잃고 주저앉았다. 살짝 넘어졌다고 생각했는데 등과 허리에 끊어질 듯 심한 통증을 느꼈다. 병원 검사 결과에서 요추 1‧2번에 압박골절이 발견됐다. 병원 침상에서 누워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섬망 증상도 악화했다. 여기에 급성신부전증이 생겨 응급투석까지 했다.
골다공증 환자 10명 가운데 9명 ‘여성’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생긴 상태로 뼈 양이 줄어들어 뼈가 얇아지고, 약해져 잘 부러지는 질환이다. 고령 환자에게 ‘골다공증골절’은 급격한 상태 악화와 합병증까지 나타나면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골다공증 환자는 2018년 97만 2,196명에서 2022년 119만 3,492명으로 5년 동안 무려 24%가 늘었다. 골다공증 환자를 남‧여 성별로 보면, 10명 가운데 9명인 94.4%(1,115,060명)가 여성이다.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노화와 호르몬 변화다. 여성은 폐경을 겪으면서 뼈 생성과 소멸에 관여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에따라 골 소실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골다공증에 노출되는 것이다.
뼈 주저앉는 ‘요추 압박골절’…고령층 여성에 많아 조심해야
건강한 척추뼈는 외부 충격에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이에 비해 노화나 골다공증으로 척추뼈가 약해지면 외부 충격에 매우 약해진다. 특히 요추 압박골절은 고령층에게 많이 생긴다.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상태가 아니라 외부 충격에 뼈가 주저앉으며 찌그러지는 형태로 발생한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재채기에도 생길 수 있다. 폐경기 이후 여성은 ‘척추 압박골절’을 더 조심해야 한다.
골다공증으로 생긴 척추압박골절 초기 증상은 근육통 정도 불편함이다. 이에 비해 낙상 사고에 따른 외상일 때는 ▲등‧허리에 움직일 수 없을 정도의 통증 ▲누웠다가 일어나거나 돌아누울 때 심해지는 통증 ▲앞으로 점점 굽어지는 상반신 ▲가슴‧엉덩이까지 통증이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골다공증 진행 억제 약물치료와 통증 억제치료 병행
골다공증 위험 요인이 있다면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아 골다공증을 확인해야 한다. 진단을 받았다면 칼슘과 비타민D를 포함한 적절한 약물사용과 운동치료로 관리해야 골다공증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골다공증골절이 생겼다면 통증을 치료하고,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재활치료와 적극적인 약물치료를 함께 써야한다. 급성통증은 소염진통제와 근이완제 등 약물치료를 한다. 여기에 통증유발점주사와 척추후관절 차단술, 경막외차단술 등 주사치료로 통증을 조절한다. 척추보조기를 처방받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폐경기 이후 척추뼈 건강을 위한 허리펴기 운동
척추 압박골절은 척추변형과 함께 온다. 인대‧근육 긴장과 관절 자극으로 만성 통증이 생기면서 척추후만증이나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변형이 발생한다.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고, 척추보조도구를 사용해 척추를 펴는 신전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척추에 과도하게 수직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기는 활동은 금지해야 한다.
골다공증 환자에게 허리를 펴는 신전운동이 좋다. 해외 연구를 보면, 폐경기 여성에게 골절을 예방하는 데에는 척추를 펴는 ‘척추신전근 강화운동’이 좋은 것으로 보고됐다. 퇴행성 변화로 척추관이 좁아지고, 관절을 펴는 근육인 신전근이 약해 허리가 굽는 척추후만증 상태가 되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무릎이 굽혀져 낙상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강동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 김동환 교수는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 환자라면 유연성을 위한 스트레칭 운동과 전신 근력 강화운동이 필요하다. 의자에 앉아 등을 기대거나, 가슴을 펴고 자주 걷는 운동이 좋다”며 “하지만 윗몸일으키기처럼 일상생활 중에 척추를 과하게 구부리는 운동이나 굴곡 자세는 척추압박골절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절대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항암제, 최신 치료제일수록 더 좋다?…항암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명지병원, 치매 예방·관리 강화 위한 논의의 장 마련
- 자살률 1위 한국, 직장인 ‘번아웃’ 가볍게 여기면 안 돼…자살 위험성↑
-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신약 '솔리리스' 급여로 달라진 희귀질환 치료성적
- 혈액으로 유방암 진단?…'혈액 기반 유방암 진단기', 혁신의료기기 지정
- "365일 24시간 해열제 살 수 있어야"…시민단체, 서명운동 전개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신약 '트로델비', 이달 18일 국내 출시
- 최근 출현 '코로나19 바이러스' 맞춤 백신, 19일 국내 접종 본격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