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한국인 환자 대상 10년 리얼월드 연구 결과 발표
환자 96.3%, 솔리리스 치료로 증상 개선…5년 생존율 96.2% 달해
치료 반응 부족·반응 소실 탓 치료 중단 없이 장기치료 내약성 확인
치료가 어려운 희귀질환으로 꼽혔던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에 신약 솔리리스(성분명 에쿨리주맙)가 등장해 실제 급여로 많은 환자에게 처방이 이뤄지면서 바뀐 10년의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치료 성적이 발표돼 관심이 주목된다.
솔리리스는 2010년에 허가된 국내 최초의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다. C5 단백질과 결합해 신경계 말단에서 일어나는 보체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보체억제제로 2012년 10월부터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에 보험 급여가 적용된 바 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솔리리스의 한국인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환자 대상 10년 후향적 리얼월드 연구를 통해 장기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각각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총 10년간 국내 14개 의료기관에서 솔리리스로 치료받은 성인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솔리리스 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다.
1차 평가 변수는 혈관 내 용혈(IVH, Intravascular hemolysis), 질환 관련 합병증 및 임상적 증상 발생, 빈혈 중등도 및 마지막 추적 관찰에서의 합병증 개선, 임상 양상 등 약물 유효성에 대한 연구자 평가였다. 추가 평가 변수로는 혈관 외 용혈(EVH, Extravascular hemolysis)과 돌발성 용혈(BTH, Breakthrough hemolysis), 5년 전반적 생존율 평가가 이뤄졌다
안전성의 경우, 솔리리스 투여 종료 또는 임상 종료 후 최대 3개월 내 발생한 감염, 솔리리스 투여 중단이 필요한 이상반응, 솔리리스 투여와 관련한 치명적인 사건 등이 포함됐다. 솔리리스 치료 기간의 중앙값은 52.7개월이었다.
연구 결과, 환자들은 치료 이전에 심각한 증상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추적 관찰 시점에서의 약물 유효성 평가에서 환자 96.3%가 솔리리스 치료로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솔리리스 치료를 통한 5년 전체 생존율은 96.2%에 달해 증상 없이 장기간 생존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의 주요 평가 지표인 혈관 내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 젖산탈수소효소(LDH, Lactate dehydrogenase) 수치의 경우, 솔리리스 치료 6개월 시점부터 95% 이상의 환자가 정상 상한치의 1.5배 이하로 개선됐으며 이 개선 효과는 약 8년 시점까지 유지됐다. 또한 환자들의 61.3%는 치료 후 LDH 정상 범위에 도달했다.
이외에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피로, 빈혈, 호흡곤란 등의 증상 발생률도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8%의 환자에서 혈관 외 용혈이 보고됐고, 총 23명 중 9명이 치료를 받았다. 혈관 외 용혈로 인한 LDH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돌발성 용혈은 18.8%의 환자가 경험했으나, 이는 이전 연구에서 확인한 발생률과 유사했다.
안전성 평가 결과, 55.7%의 환자가 치료 기간 동안 혈전색전증, 폐고혈압, 신부전 등 합병증을 보고하지 않았다. 치료 기간동안 솔리리스 치료 반응 부족이나 반응 소실로 인해 치료를 중단한 사례도 보고되지 않아 장기 치료에도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2명의 사망 사건이 보고되었지만 치료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희귀질환 사업부 김철웅 전무는 “올해 급여 및 출시 10주년을 맞은 솔리리스가 이번 연구를 통해 실제 국내 진료 현장에서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환자 대상으로 장기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며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인 솔리리스와 울토미리스를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시장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자살률 1위 한국, 직장인 ‘번아웃’ 가볍게 여기면 안 돼…자살 위험성↑
- [헬스로그 명의] “폐암과의 싸움에서 무기 종류 많아진 점 고무적”
- 뼈에 구멍 숭숭 뚫린 골다공증 환자 120만…10명 중 9명 여성
- 항암제, 최신 치료제일수록 더 좋다?…항암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존엄한 웰다잉 위해 ‘벼락치기 존엄사’ 개선돼야”
- 장기이식은 ‘기적’…장기기증등록자 39만명 중 뇌사기증자, 단 8명
- 독감 예방접종…"늦어도 11월까지는 해야"
- 자연치아 대체하는 임플란트 ‘사후관리’ 중요…잘하면 반영구 사용
- 효과 입증 안됐는데…‘콜린제제’, 치매예방약 등으로 처방 급증
- 요즘 핫한 ‘탕후루’ 즐겨 먹으면…‘지방간’ 바로 만난다
- 고령에 개흉술 엄두 안 난다…'승모판막 클립시술'로 치료환경 바뀌었다
- 루게릭병 환자, 지방감소증 동반되면 생명줄도 줄어든다
- 혈액으로 유방암 진단?…'혈액 기반 유방암 진단기', 혁신의료기기 지정
- "365일 24시간 해열제 살 수 있어야"…시민단체, 서명운동 전개
-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신약 '트로델비', 이달 18일 국내 출시
- 최근 출현 '코로나19 바이러스' 맞춤 백신, 19일 국내 접종 본격 시작
- 의료분쟁, 정형외과-내과-치과 순으로 많아…성형외과 1년 새 ‘5배’↑
- 작년에 먹던 서랍 속 감기약 다시 꺼내 먹으면 안 되는 이유
- 유방암 치료 중 마비·통증·감각저하 나타났다…"암재활 필요하다"
- 대한민국, 내년부터 세계 보건현안 대응 주도…WHO 집행이사국 내정
- 서울대병원, 8년 연속 국가브랜드경쟁력 ‘ 종합병원 부문 1위’
- 조기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 시대 연 신약 '알레센자'
- "뇌종양·유방암인줄 알았는데"…류마티스극희귀질환이었다!
- 번번이 묵살된 전문 의학회 의견…“솔리리스 급여, 환자 중심 판단 중요”
- 희귀질환 환자 골든타임 위해 기꺼이 손실 감수하는 아스트라제네카
- aHUS 치료제 '울토미리스' 급여됐지만 사전심의제 벽은 여전

